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2006년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된 이 교수의 논문을 본 뒤 소주대로 초청해
공동
연구를 제안하기도 했다.물론 그는 여전히 세계 디스플레이 학계에서도 거목으로 꼽힌다. 지난 8월 그는 ‘네이처 포토닉스’가 주관하는 ‘광제어 액정성 복합신소재 국제 워크숍’에서 액정의 미래 활용 ... ...
통합 지식과 사고력이 평가 기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논술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며 메가스터디에서 수리과학 통합논술을 강의하고 있다.
공동
저서로는 ‘동아일보 이지논술 수리·과학논술편’ ‘올플 600제 시리즈(수학·과학)’ 등이 있다. 2009학년도 서울대 자연계논술은 특정 값에 관한 풀이 과정보다 설명이나 추론을 요구하는 사고력 중심의 논제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있는 많은 과학자뿐 아니라 미시간, 뉴욕, 위스콘신, 체코 공화국에 있는 동료들이
공동
집필했다. 펜튼 박사는 “이번 연구는 PKM제타가 서로 다른 종류의 기억에 적용되는 저장 메카니즘임을 보여준다. PKM제타는 두뇌의 일반적인 능력이 아니라 오직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뚜렷한 기억만 ... ...
성공하는 과학관의 7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과학을 딱딱하게 얘기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 퀘스타콘 측에서는 호주국립대와
공동
으로 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를 설립했다. 대중에게 과학을 쉽게 전달하는 전문 과학커뮤니케이터 양성과정이다.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 학생들은 호주국립대에서 낯선 사람의 시선을 사로잡기, 공개된 장소에서 ... ...
과학으로 본 우리 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중 하나는 경기만과 중국을 잇는 해상로를 확보해 대당외교를 독자적으로 펼치고 당과
공동
으로 군사작전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신라는 진평왕 8년에 선부서(船付署)를 설치해 선박을 건조하고 관리했다.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발굴된 통나무배인 안압지배는 통일신라시대에 연못이나 강에서 ... ...
인쇄전자기술은 한국이 최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인쇄전자기술 연구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가 많이 나오는 만큼 개별적인 성과가
공동
의 노력과 이해를 통해 우리 삶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길 바란다.나유진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뒤 현재 동대학원 석·박사 통합과정에 다니고 있다. 유기화학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반도체와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지을 때 필요한 재료도 꼼꼼하게 골라야 하고, 태양열 집단난방공사나 풍력발전소 같이
공동
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도 만들어야 했어요.친구들은 새롭게 태어난 마을을 보며 기뻐했어요. 공기도 맑고 전기세도 적게 낼 수 있다고 자랑도 많이 했지요. 하지만 저는 기쁘지 않았어요. 아직 쥐순이는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 호메오박스가 발견됐소. 이 얘기를 풀이하면 모든 호메오박스 유전자들은
공동
조상에서 비롯됐을 뿐만 아니라 초파리와 사람의 호메오박스 유전자들은 수억 년의 진화 역사가 흘렀지만 여전히 비슷하고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말이오. 이렇게 발생유전자는 보존됐는데도 어떻게 ... ...
[환경]해조류와 열대식물로 나는 비행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배출이 얼마나 줄어드는지 분석할 계획이다.지난 9개월 동안 콘티넨탈항공은 보잉과
공동
으로 바이오연료를 연구해왔고, 최근 실험실과 지상 테스트도 마쳤다. 콘티넨탈항공 래리 켈너 회장은 “지금까지 항공업계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 성과가 이번 시험 비행에서 드러날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정확한 염기서열 정보를 얻으려면 20~30배로 분석할 것을 권한다. 그러나 가천의과대와
공동
으로 김 박사의 게놈을 해독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 박종화 센터장은 “외국에선 8배 정도로만 서열을 분석해도 충분히 좋은 논문을 낸다”며 “꼭 많은 배수로 분석해야 정확성을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