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과학기술 발전의 기둥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특히 도쿄공업대는 일본에서 산학협력이 가장 잘 이뤄지는 대학으로 꼽힌다. 기업과의
공동
프로젝트가 많고 최첨단 실험장비를 많이 보유해 연구시설 면에서 일본 최고라는 평가를 받는다. 도쿄공업대는 1881년 ‘동경직공학교’라는 이름으로 시작했다. 그 뒤 1930년대 동경공업대로 승격해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차례로 졸업한 뒤 NK학원의 원장으로 과학논술을 강의하고 있으며 NK 으뜸한의원
공동
원장을 맡고 있다. 평소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 여러 매체에서 과학, 경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A형은 소심하고 B형은 자기 주장이 강하다? 혈액형에 따른 성격분석이 과학적인지 따져봅시다. Q 1 다음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논술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며 메가스터디에서 수리과학 통합논술을 강의하고 있다.
공동
저서로는 ‘동아일보 이지논술 수리·과학논술편’ ‘올플 600제 시리즈(수학·과학)’ 등이 있다. 자연계논술의 범위는 과학I과 공통과학을 바탕으로 출제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적지 않은 대학이 ... ...
유인 우주탐사의 산실, 존슨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ILN)를 결성하려고 논의 중”이라며 “각국이 서로 다른 관측장비를 이용해 달을
공동
연구하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데, 한국도 달에서 월진(moonquake)이나 내부 열 흐름 관측, 통신 중계 등의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20년쯤 달에 궤도선을 보낼 계획이다. 미래에 달은 ... ...
해파리가 안겨준 형광빛 메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Protein, 이하 GFP)을 발견하고 생명과학 연구에 적용한 공로를 인정받은 과학자 3명이
공동
으로 수상했다.일본인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는 발광 해파리인 에쿼리아 빅토리아(Aequorea victoria)에서 GFP를 분리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미국인 마틴 찰피 교수는 GFP 유전자를 도입한 박테리아에서 최초로 GFP를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논문도 게재하기 시작했다. 한국과학영재지원정보센터 김명환 이사장은 “논문
공동
저자 중 내용을 모르는 사람은 면접 심사에서 탈락시킬 정도로 논문 심사는 엄격하다”며 “논문 게재율은 30% 정도”라고 말했다. 접수된 논문이 5편 이상이 되면 서류심사가 진행되고 서류심사를 통과한 논문은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프로젝트다. 두 나라가 각각 달 탐사에 사용했던 우주선을 지구 궤도에서 결합시킨 뒤
공동
으로 임무를 수행했다.아폴로-소유스 프로젝트는 냉전 중이던 두 나라가 우주에서 만나 우정을 나눈다는 상징적 의미가 컸지만, 두 나라는 우주선 랑데부 기술을 발전시키는 큰 경험을 쌓았다. 도킹을 하기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피임 효과가 없다’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발표한 대만 타이베이대 연구진도 화학분야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극장에서 열린 이그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코카콜라를 마시며 이들의 수상을 축하(?)했다.이그노벨 의학상은 미국 듀크대에서 행동경제학을 연구하는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도전의식을 느낄 만한 사업을 제시하고, 모든 일에 최고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모였다는
공동
체 의식을 느끼게 해줘야 합니다.제 주변의 많은 동료들은 NASA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아폴로 13’이라는 영화를 보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그만큼 NASA 직원들은 자기가 하는 일에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 있어 위험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현재 이 교수팀은 서울대 의대 연구진과
공동
으로 빛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작동하는 휴대용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센서는 환경호르몬 등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퇴행성 신경질환을 일으키는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이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