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2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코롤료프 박사가 설계하고 구소련이 건설해 1955년 문을 열었어. 6717㎢나 되는 넓은 땅에 로켓 발사에 필요한 9개의 우주로켓 발사대와 4개의 미사일 발사대, 그리고 11동의 검사장비 및 우주로켓 조립동을 갖추고 있단다. 이곳은 1957년 10월 세계 최초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고, 1961년 ...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바퀴가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고 뒤쪽의 스크류를 이용해 배처럼 물 위를 달린다. 땅에서는 시속 160㎞, 물 위에서는 시속 48㎞까지 달릴 수 있다. 지금까지 독특한 기능과 모양을 갖춘 미래형 자동차를 만나 보았습니다. 이 자동차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기능이 완전하지 못해 아직 일상생활에서 ...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과학동아 l2008년 07호
- 부리 발생 조직에서 뼈형태형성단백질4(BMP4)의 발현 패턴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즉 땅 핀치의 경우 BMP4가 발생 초기에 더 많이 만들어졌다. 한편 같은 집단에 속하는 3종 사이에도 BMP4의 발현 패턴이 조금씩 달라 부리 형태의 미묘한 차이를 만들었다.결국 새로운 형태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고개를 든다. 어디에 숨었다가 돋아나는지 신비스럽기만 하다. 사실 알고 보면 버섯은 땅속이나 낙엽 속에 균사체로 있다가 비가 내린 뒤 촉촉하게 습기가 있을 때 자실체(버섯)를 만들고, 자손(포자)을 멀리 전파하기 위해 짧은 시간에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다.최근 웰빙 바람을 타고 자연산 ...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과학동아 l2008년 07호
- 팔은 최대 2.35m까지 펼 수 있으며, 굴삭기처럼 손목 부위의 회전 모터로 0.5m 깊이까지 땅을 팔 수 있다. 로봇 팔의 ‘손’에 해당하는 부분 위에는 카메라가 붙어 있어 토양의 실제 모습을 찍을 수도 있다.로봇 팔로 퍼 올린 흙을 ‘열처리가스 분석기’(TEGA)로 보내면 8개의 분석기에서 토양을 980℃로 ... ...
- “우르르~, 쾅쾅!”화성의 눈사태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무너져 내리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지요. 특히 오른쪽 짙은 갈색 부분은 평평한 땅인데 여기에는 눈사태 때문에 커다란 먼지 구름까지 생겼어요. 이 먼지구름은 크기가 초등학교 운동장 네 개만 하고 높이가 아파트 60층이 넘을 정도여서 이번 눈사태가 꽤 큰 규모로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피난처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엮어‘ㄷ’자 모양으로 벽을 만들고, 땅에서 올라오는 한기를 막기 위해 우주선에서 떼어 낸 낙하산을 바닥에 깔았지요. 추위는 대충 피할 수 있게 됐지만 여기서 어떻게 밤을 지샐지…. 무전기로 구조신호를 계속 보냈지만 시끄러운 잡음만 ...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만나 볼 수 있습니다.숨어도, 숨어도 다 보여!10000BC의 거대 동물은 땅 속에 숨어 있는 화석 말고 다른 것을 통해서도 연구할 수 있답니다. 그 중 첫 번째는 10000BC의 흙을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흙 속엔 10000BC 동물들의 똥과 오줌이 섞여 있기 때문이지요.동물의 똥과 오줌으로는 그 동물이 무엇을 먹고 ...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하나의 관을 타고 오는데, 중간에 도굴꾼이 구멍을 내면 석유가 흘러나와 주변의 땅을 오염시키는 것과 같은 이치다.뇌혈관장벽이 무너진 혈관은 정상 세포를 잠식한다. 만약 뇌세포의 어느 한 부분에 암이 생기면, 혈관의‘성문’이 무너져 가지를 친다. 이것이 거듭돼 뇌의 암세포 주변에 혈관이 ...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종류도 10여 종이 있다. 철새처럼 외국에서 태어나 우리나라로 날아들지만, 이들이 우리 땅에서 자신의 삶을 다할 뿐 다음 세대로 이어가지 못한다는 점은 철새와 다르다. 그래서 이런 나비들을 ‘길 잃은 나비’란 뜻으로 미접(迷蝶)이라고 한다.우리나라에 사는 나비는 종류만큼 생태도 다양하다.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