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신호 켜진 허리 건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5. 편안히 누워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하체를 상체 뒤로 넘긴다. 무릎을 펴고 발 끝이
땅
에 닿을 정도로 몸을 구부린다.6. 엎드려 누워서 손으로 양 발목을 잡은 뒤 활 자세를 취한다.7. 엎드려 누워서 팔을 직각으로 구부린다. 무릎을 붙인 채로 배를 중심으로 가슴과 하체를 천천히 든다.3. 척추에 좋은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 평생 사용 가능사용대상 : 시각장애우와 일반인 모두 사용 가능주의사항 :
땅
에 떨어뜨리면 깨질 수 있으니 조심▼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2종류가 있다. 이들은 나오는 과정도 다른 버섯과 다르다. 처음에는 달걀모양으로
땅
표면 가까이에 묻혀 있다가 윗부분이 갈라지며 머리 모양의 갓과 대가 나타나고 어느 정도 지나면 갓 아래쪽에서 망사가 내려온다. 이때 망사는 눈에 띌 만큼 빠르게 내려온다. 이 모든 과정은 대부분 오전 6시에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익을 챙기지만 보통 끝이 안 좋다. 동물 가운데는 여우가 약삭빠름의 대명사다. 그런데
땅
속에 뿌리를 박고 있는 식물 가운데도 ‘약삭빠르다’는 소리를 들어야할 녀석이 있다. 게다가 이 친구 역시 결국 뒤끝이 안 좋다. 약삭빠른 식물은 바로 아프리카 들판에서 자라는 아카시아.우리나라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부드러운 부분은 썩어 없어지고 단단한 골격만 남게 되었어.1998년 12월, 잠자던 어두운
땅
속에 빛이 들어왔어.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의 백인성 교수님이 경상남도 하동군 앞바다의 돌섬에서 내 뼈를 발굴해 내신 거야. 나의 목뼈와 등뼈, 갈비뼈, 꼬리뼈등이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됐단다.나는 백 ... ...
NASA, 달 탐사용 로봇 차 2종 공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쉽게 안정시킬 수 있도록 했다. 달은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드릴로
땅
을 파다가 로봇 차가 쉽게 뒤집힐 수 있기 때문이다.‘달 자원활용 프로젝트’의 책임자 빌 라르손은 “달에서 인간이 살기 위해 필요한 물질을 지구에서 모두 가져가기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며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며칠 뒤 시커먼 구름이 몰려오고 우렁찬 천둥소리와 함께 굵은 빗줄기가 메마른
땅
을 속속들이 적신다. 물의 신 ‘챠크’를 상징하는 마야블루오늘날 멕시코와 과테말라 일대에서 수년 천 동안 번성하다 15세기 멸망해 매몰된 마야문명. 마야인들은 신에게 인간을 산 제물로 바치는 의식을 행했다.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연결되어 있어 가뭄이 들더라도 물이 마르는 일이 거의 없다.●맹꽁이 맹꽁이는 낮에는
땅
속에 있다가 밤에 나와 먹이를 먹는다. 몸전체가 둥그런 모양이다. ●금개구리 밝은 녹색을 띤 금개구리는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울음주머니가 없어서 큰 소리로 울지 못한다.아름다운 태안을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않을 정도로 뛰어나다. 실제로 탄자니아 소코인 농업대학교에서 훈련된 아프리카들쥐는
땅
속 깊이 묻힌 지뢰의 냄새만 맡고 지뢰를 찾아 내는 일을 하고 있다.지뢰뿐만 아니라 결핵균도 찾는다. 사람이 결핵에 걸리면 침 속에 결핵균이 있는데, 이 결핵균에서는 특이한 냄새가 난다. 결핵균의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망이다. 한반도 양서류도 위기경칩이 되면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들이 기지개를 펴며
땅
속에서 나와 번식을 위해 짝을 찾는 활동을 시작한다던 말은 이제 과거의 이야기로 접어야 할까. 우리나라 남쪽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겨울이 한창인 1월에도 겨울잠에서 나와 산란을 하는 북방산개구리와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