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말려 찜 요리에 적당한 코다리, 노릇노릇하게 구워먹는 노가리, 통통한 주머니 안에 작은 알들이 가득 담겨 있는 명란젓, 꼬들꼬들한 식감을 자랑하는 창란젓 등도 명태로 만든 것이다. 눈과 비, 바람을 맞으며 오랫동안 말린 명태(황태)나 바짝 말린 명태(북어)로 육수를 우려내 여러 요리의 베이스로 ... ...
- Part 1. 닭은 억울하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우는 이유는 뇌 속에 있는 ‘송과체’ 덕분이에요.송과체는 척추동물의 뇌 속에 있는 작은 내분비기관으로, ●멜라토닌을 분비해요. 이 덕분에 사람은 낮이 되면 깨어나고 밤에는 잠을 잘 수 있지요.그런데 송과체는 일부 파충류나 어류, 조류에게서 더욱 발달했어요. 그 결과 조류인 닭은 동 트기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2화 여자 기숙사 잠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조심해야지! 여자애 방문을 함부로 열려고 하다니.’아마 인희도 자고 있을 터였다. 작은 소리로 문을 두드리면서 일어나기를 기대해야 했다.똑똑똑-의외로 단 한 번만에 방 안에서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인희가 일어나는 모양이었다.“누구야?”나직한 목소리. 인희였다.“나 하리… ...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가장 질긴 생명력을 지닌 생물’로 알려진 물곰이에요.물곰은 몸 크기가 0.1mm~1.5mm인 작은 무척추 동물이에요. 영하 273℃의 차가운 환경이나 151℃의 뜨거운 환경, 방사성 물질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잘 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지요.일본 도쿄대학교 구니에다 다케카즈 교수팀은 물곰의 유전 정보인 ...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늑대를 상대하기는 힘들어요.다행히 숲에서 사냥하는 늑대와 달리 코요테는 평원에서 작은 포유류를 먹거나, 다른 육식동물이 먹고 남긴 초식동물을 먹기 때문에 늑대를 피해 살아갈 수 있어요. 다만 늑대가 없는 곳에선 자칼, 여우 등과 다시 경쟁을 해야 한답니다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흥미롭게도, 이 암컷들은 여자 형제인 경우가 많았다. 이 모든 과정의 정확한 원인과 기작은 아직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계획임신과 공동육아로 쌍둥이도 거뜬하게뭐니뭐니해도 가장 독특한 습성은 이란성 쌍둥이만 낳는 것이다(마모셋, 타마린 7속 가운데 가장 원시적인 속(Callimico)에 속하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느낀다는 거예요. 지구에는 중력이 작용해서 우리는 무게를 느낍니다. 지구보다 중력이 작은 천체에서는 저중력 상태가 되겠지요. 달이 저중력 상태예요. 달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16입니다. 쉽게 말해 지구에서 20cm 뛸 수 있는 에너지로 달에서는 120cm까지 뛰어 오를 수 있다는 뜻입니다.재밌어 ... ...
- [가상인터뷰] 해마 유전체 완전 해독!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어요. 그래서 주둥이로 물을 빨아들인 후, 그 속에 들어 있는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작은 새우를 씹지 않고 삼켜 먹지요.우리 집으로 함께 가지 않을래?사실 해마의 유전체가 완전히 해독된 것은 처음이에요.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우리의 독특한 생김새와 흥미로운 습성이 무엇 때문인지 궁금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천m 깊이의 심해까지 실감나게 펼쳐졌지요. 처음에는 오색빛깔의 산호초와 니모처럼 작은 물고기들이 보였어요. 더 깊이 내려가자 조금씩 어두워지고, 바다 거북이와 고래같이 몸 색이 어두운 바다 생물들이 보였어요. 빛이 전혀 들지 않는 깜깜한 바다 밑에서는 기괴하게 생긴 심해어만 가끔씩 ...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광학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나노레이저의 색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래핀은 전기적 특성은 뛰어나지만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 ...
이전21521621721821922022122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