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 결과, 지구 핵의 시간이 1초마다 0.0000000003초씩 느린 것으로 나타났지요.매우 작은 차이지만 이 시간이 45억 년간 누적되니 무려 핵이 2.5년이 더 젊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이는 파인만이 말했던 하루 이틀보다 훨씬 큰 시간 차이였답니다.지구는 여전히 모르는 게 더 많은 신비한 행성이야.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핵심 재료인 반도체 집적회로를 더 이상 작게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집적회로는 작은 크기의 회로로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점점 밀도를 높여 왔지만, 물리적인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다. 회로의 선폭을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좁힌 상황이라 더 줄이기 어려울 뿐더러, 발열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다시 디자인해야 했다. 최 교수는 “저는 세포에 대해서 잘 몰랐고, 유 교수는 이렇게 작은 3차원 구조물에서 신경줄기세포를 키워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다음 단계로 마이크로 로봇을 넣고 생체내에서 직접 조종해 보는 동물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또 ... ...
- 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팔찌처럼 차고 있다가 손목을 살짝 흔들면 현재 시각을 볼 수 있는 손목시계. 작은 프로젝터가 들어 있어서 피부에 빛을 쏴서 현재 시각을 보여 준다. 숫자뿐만 아니라 글씨도 표시할 수 있어서 휴대전화와 연결하면 누구에게 전화가 왔는지, 어떤 메시지가 왔는지도 알려 준다.내 맘대로 만드는 ... ...
- [수학뉴스] 시에르핀스키 문제 이제 다섯 걸음 남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증명했습니다. 1962년에는 미국 수학자 존 셀프리지와 함께 시에르핀스키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가 78557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이를 ‘시에르핀스키 문제’라고 합니다. 프라임그리드는 지금 이 시간에도 남은 후보 5개 21181과 22699, 24737, 55459, 67607이 시에르핀스키 수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컴퓨터를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130년 전인 1887년 3월 6일 저녁. 어두워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던 경복궁에 작은 전구 하나가 깜빡 하더니 눈부신 빛이 주위를 밝혔습니다. 마침내 우리나라 최초로 전등이 점화됐습니다. 1882년 고종 19년, 조선은 미국과 통상 조약을 맺고, 미국에 사절단을 보낸다.이후 에디슨 전기회사에서 사온 75 ...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프레디머큐리는 화성과 목성 중간에 있으며 지름이 3.5km에 불과한 소행성입니다. 이렇게 작은 까닭에 잘 보이지 않아 1991년이 돼서야 발견됐습니다. 1991년은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해이기도 하지요.메이는 음악을 할 때도 물리학도의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무슨 소리냐고요? 이 노래를 들어보시죠 ... ...
- [과학뉴스] 1952년 런던의 ‘살인 안개’ 비밀 풀렸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중국 스모그의 차이도 알아냈다. 중국의 스모그 입자는 런던의 살인 안개보다 훨씬 작은 나노미터 크기이고, 런던의 안개가 강한 산성을 띠는 것과 달리 중성에 가까웠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6년 11월 9일자에 실렸다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작은 엔트로피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안동 김씨에 그 자리를 내주고 세 번째로 작은 엔트로피 값을 나타냈다. 참고로 안동 권씨의 인구수는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줄곧 11위를 차지했다. 광산 김씨와 안동 권씨는 적지 않은 인구임에도, 전국적으로 널리 퍼지지 않은 성씨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구르려면 입자의 질량이 플랑크 질량에 비해 매우 작아야 한다. 힉스 입자가 이렇게 작은 질량을 가지려면 힉스 입자와 중력과의 결합계수가 약 10-11정도로 매우 작아야하는데, 이는 현대입자이론의 관점에서 매우 부자연스럽다(결합계수는 1에 가까워야 자연스럽다고 본다). 즉, 힉스 입자는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