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08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순물 섞인 이산화탄소 높은 효율로 분해하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일 없이 안정적인 전기분해 성능을 나타냈다. 김 교수는 “층상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표면
에 스스로 형성된 코발트 니켈 합금 나노입자 촉매를 통해 전기분해 성능을 향상시켰다”며 “기술이 상용화되면 발전소나 제철소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가 포함된 배기가스 내 ... ...
日 오사카대 연구팀, iPS세포로 만든 심장근육 세계 첫 이식
연합뉴스
l
2020.01.28
환자에게 다른 사람의 iPS 세포로 만든 직경 4~5㎝, 두께 0.1㎜인 심장근육 시트 3장을 심장
표면
에 붙여 총 1억 개가량의 세포를 이식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연구팀은 이 시트가 정착하면 새로운 혈관이 생기면서 심장 기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시트는 교토대가 ... ...
[표지로 읽는 과학]진핵생물 진화 밝힐 고세균 배양 성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14~25일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고세균 중 일부는 표지 이미지에서처럼 외부
표면
에 나뭇가지 형태의 돌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 돌기를 이용해 지나가는 박테리아를 붙잡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붙잡힌 박테리아는 고세균에 내재화 돼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막 결합 ... ...
[프리미엄 리포트]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01.26
등을 개발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한국형 달 탐사 로버는 2030년 한국 발사체에 실려 달
표면
에 착륙한다. 앞으로 극한 조건에서의 테스트와 추가 개발이 남았지만, 이번 시연 성공으로 중요한 첫 발을 내딛었다. 이 책임연구원은 “세계적으로 달 탐사 경쟁이 치열한 만큼 우리나라도 한국형 달 ... ...
[팩트체크]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날까
과학동아
l
2020.01.25
있어서인지 구울 때 불고기 향과 표고버섯 향이 났습니다. 눈에 보이는 질감 역시 고기
표면
에 촘촘한 주름이 져 있어 시각적으로는 진짜 고기와 비슷해 보였습니다. 그러하면 입에 넣어도 고기와 비슷한 식감이 날까요. 이진규 이화여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콩 등을 갈아 넣은 반죽을 가래떡처럼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박쥐→뱀→사람' 순으로 전파" 中연구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1.23
사스)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호흡기세포
표면
에 나 있는 ACE2 수용체에 들러붙어 감염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이달 중순에는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유전적으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와 89.1%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당시에는 유전적으로 ... ...
세균 감염 악화시키는 불량 면역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3
세균을 퇴치할 활성산소를 제대로 분비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실제로 이 세포
표면
의 줄기세포항원에 대응하는 항체를 투여, 이 면역세포를 제거할 경우 감염 생쥐의 조직 손상과 치사율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감염된 생쥐에 이 면역세포를 이식할 경우 조직 손상과 치사율이 증가했다. ... ...
에너지기술硏, 에너지 고효율 제습공조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기술은 환경 규제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중공사막
표면
에 친수성을 극대화한 물질을 얇게 코팅해 수분의 투과량과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에기연 연구진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분리막 모듈과 진공 펌프로 구성된 분리막 이용 제습 공조 기술을 개발, 실내 ... ...
세계 10대 화합물 '염소' 값싸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촉매를 개발했다. 질소에 둘러싸인 백금 원자는 다른 입자와 뭉치지 않고 탄소나노튜브
표면
에 하나 하나 달라붙었다. 이를 이용해 연구팀은 촉매에 쓰이는 귀금속의 양을 DSA의 150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이 촉매는 같은 전압을 가했을 때 기존 촉매보다 높은 전류 밀도를 보였다. 전류 밀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ACE2 단백질(위 녹색)과 결합할 수 있게 진화했고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 세포
표면
의 DPP4 단백질(아래 녹색)을 인식할 수 있게 진화했다. 수백만 년 전부터 박쥐 몸 안에 살며 끊임없는 돌연변이와 수많은 재조합 실험을 거듭한 끝에 코로나바이러스는 100여 년 전부터 사람에 침투할 수 있는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