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07
교실에 들어가 G 슈발베 교수 밑에서 혈액학(血液學)을 연구했다192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해부학
교수가 된 무렵부터 인류의 진화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에링크스도르프 출토 두개화석의 연구를 담당했다28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인류학 교수가 되었으나 34년 나치스 지배하의 독일을 떠나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
과학동아
l
200307
비행, 지질학, 식물학, 입체 기하학을 거쳐 수류에 관한 연구나 운하공학, 또는 기계학과
해부학
등의 분야에 여러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전문성을 강조하는 오늘날 다빈치를 닮고싶어하는 사람은 아마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자신의 일과 관련된 분야의 지식을 쌓는데 만도 시간이 모자랄 ... ...
치매와 에이즈 극복의 지름길 침팬지게놈
과학동아
l
200306
침팬지는 약 1백40가지의 질환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과 침팬지는 생리·
해부학
적 차이점에 의해 질환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 에이즈와 치매, 말라리아다.이 세 질병은 모두 사람에게 나타나지만 침팬지에서는 발병하지 않는다. 먼저 에이즈를 살펴보자. 에이즈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06
알고 있을 뿐이다.먼저 CMAH 유전자에 대해 알아보자. 인간이 침팬지와 구별되는 중요한
해부학
적 특징은 뇌의 크기와 복잡한 구조에 있다. 이런 차이를 설명해 주는 키워드가 바로 CMAH(CMP-Neu5Ac Hydroxylase)다(그림).이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Neu5Ac’라는 화합물에 산소를 첨가시켜 ‘Neu5Gc’라 불리는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06
학문이다현재는 동물분류학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독일의 동물생리학자이며
해부학
자인 T 슈반의 저서 1839년에 발간되었다3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는 척색(脊索)과 연골(軟骨)의 구조와 성장에 관한 관찰을 기술하고, 제2장은「동물체의 모든 조직의 기초로서의 세포에 대하여」로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06
정도가 가장 작기 때문이다.유전자의 차이점을 근거로 종을 나누는 유전자 계통수는
해부학
적 특징이나 표현형의 차이로 종을 나누는 전통적인 종 계통수와 종종 차이를 보인다. 이는 모든 DNA의 염기서열들이 같은 역사를 갖고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어떤 DNA는 다른 DNA에 비해 비교적 늦게 전체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05
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수학교수로 8년간 재직하고 스위스로 돌아와 바젤 대학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05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하지만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해부학
적 구조상 꼬리뼈가 매우 중요하다거나, 맹장이 면역기능과 관련 있다는 등의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어 각각이 인체 내에서 어느 정도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경우에 따라 차이가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03
그 결과 고대 조각가들은 대부분 오른쪽 음낭을 왼쪽보다 ‘높게’ 만든 점에서는
해부학
연구와 일치했지만, 왼쪽 음낭을 ‘크게’ 만든 점에서 사실과 달랐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을 보면 이 점을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결국 빙켈만이 조각상을 본 것은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03
1876년부터 1881년까지 에든버러대에서 의학을 공부했기 때문일 것이다. 코난 도일은
해부학
과 화학에 조예가 상당히 깊었으며 대학 졸업 후 병원을 개업하기도 했다.특히 그는 에든버러대 시절 은사였던 조셉 벨 박사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조셉 벨 박사는 평소 “환자를 진단할 때에는 눈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