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3
비목어의 일종인 넙치의 눈이 두개임을 확실하게 밝혔다. 뿐만 아니라 그
해부학
적 구조까지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큰 놈은 길이가 4-5자, 넓이가 두자 정도다. 몸은 넓고 엷으며 두눈이 몸의 왼쪽에 치우쳐 있다. 입은 세로로 찢어졌으며 …… 장은 지갑과 같이 두개의 방으로 돼 있다. 알이 들어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01
돼지 - 스페어 장기 생산 공장돼지는 잡식성으로 인간과 식성이 유사하고 장기의
해부학
적 구조나 생리특성이 인간과 가깝다. 이 때문에 돼지장기를 이용해 간, 심장, 신장, 폐와 같은 장기질환자의 장기를 교체하고자하는 이종장기 생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000년 3월 5일 영국 로슬린연구소와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12
이탈리아의 파도바 대학에 유학하여 그해 12월에는 학위를 취득하고 23세의 젊은 나이로
해부학
과 외과교수로 임용되었다 칼슘과 알루미늄이 주가 된 가수(加水) 규산염광물(珪酸鹽鑛物)이다 주상(柱狀) · 추상(錐狀)의 결정을 이루며 세주상(細柱狀) 결정의 방사상 집합체나 입상 집합체를 이루는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11
동물학을 배우고 나폴리에서 발생학을 연구했다1870~82년 오데사 대학의 동물학과 비교
해부학
교수로 있었고, 83년 메시나에서 극피동물을 연구하는 도중 식세포 작용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켜 면역설을 제창했다기계의 통제부분에 마이크로컴퓨터 등 전자장치를 조합한 새로운 지능 주입형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11
교실에 들어가 G 슈발베 교수 밑에서 혈액학(血液學)을 연구했다192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해부학
교수가 된 무렵부터 인류의 진화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에링크스도르프 출토 두개화석의 연구를 담당했다28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인류학 교수가 되었으나 34년 나치스 지배하의 독일을 떠나 ... ...
올해의 Ig 노벨상 발표
과학동아
l
200211
항상 왼쪽이 더 크며, 자연상태에서도 그렇다고 주장한 것에 주목했다. 맥마누스 교수가
해부학
적으로 정교한 1백7개의 조각상을 조사한 결과 역사학자들의 말대로였다. 그러나 실제 남성은 대부분 오른쪽 음낭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1976년 ‘네이처’에 발표됐다.한편 인도 케랄라 ... ...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10
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 수학교수로 8년간 재직하고 스위스로 돌아와 바젤 대학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10
학문이다현재는 동물분류학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독일의 동물생리학자이며
해부학
자인 T 슈반의 저서 1839년에 발간되었다3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는 척색(脊索)과 연골(軟骨)의 구조와 성장에 관한 관찰을 기술하고, 제2장은「동물체의 모든 조직의 기초로서의 세포에 대하여」로 ... ...
인간이 말할 수 있는 유전학적 이유
과학동아
l
200209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면서 지난 20만년 동안 언어가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부학
적으로 볼 때 이는 현생 인류가 출현한 시기와도 일치한다는 것이다.연구자들은 FOXP2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의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일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언어 진화를 연구하는 학자인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09
어떻게 이뤄지는지 볼 수 있었다. 즉 지금까지 어떤 장비로도 확인할 수 없었던 정확한
해부학
적 구조에서 미세한 생명현상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3백60도 3D로 관찰하면서 밝혀낼 수 있다는 얘기다.의학 분야에서도 큰 활약을 펼치리라 예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대의 불치병인 암은 초기에 1cm,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