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대"(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스턱스넷은 기반시설의 시스템이나 사용자 컴퓨터를 제어하고 시설을 파괴한다.임종인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교수는 “공항관제 시스템을 해킹해 항공기의 충돌을 유도하거나 시중은행에서 고객 정보를 대량으로 빼내 거액의 돈을 빼가는 사상 초유의 사이버테러는 실제로도 가능하다”며,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5년 3월 고려대에 부임해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카카오톡과 텔레그램 모두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 스마트폰 보안전문가인 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RSA라는 비대칭키 방식을 사용하는 카카오톡과 텔레그램 모두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시간 감시는 카카오톡 서버를 장악한다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등을 비롯해 대학에 있는 연구자들도 세계 곳곳에서 신종을 찾고 있다. 올해만 해도 고려대 의대와 극지연구소 연구팀이 남극에서 신종 아데노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우리 신종헌터들은 이미 '생물자원 특허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안녕, 나는 미래에서 온 ‘아토’라고 해요. 지금 여러분이 즐겨 쓰는 스마트폰 메신저의 미래 버전이라 볼 수 있죠. 나는 훨씬 더 발달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지금처럼 과거로 돌아가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내 모습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나를 만나려면 꼭 알아야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직책을 담당해온 하나은행 유시완 본부장에게 ‘수학’에 대해 물었다. 유시완 본부장은 고려대 수학과를 졸업했고, 현재 하나은행 최고정보책임자(CIO)를 담당하고 있다.“저는 순수학문인 수학을 전공했지만, 누구보다 빨리 취업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전산학을 더 공부했어요. 저는 전문 ...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물론 이론적으로는 제습기의 소비전력 당 제습능력이 에어컨보다 우수하다. 김용찬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같은 전기에너지를 에어컨은 냉방과 제습에 나눠 쓰고 제습기는 제습에만 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제습기는 그럼 아예 쓸모가 없다는 말일까? 그렇지만은 않다. 여기저기서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예술가 송호준의 앞으로 행보가 기대된다. Q&A 송호준 작가의 학창시절은 어땠을까?고려대와 카이스트 출신의 공학도시니 수학도 잘하셨을 것 같아요. 수포자에게 한 마디 하신다면? 학생 때 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동기가 있으면 잘 할 수 있어요. 하지만 학교에서는 이런 동기를 잘 만들어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눈높이를 맞추고 공손하게 줘야 하는데, 저는 한 손으로 휙 던져준 셈이었죠.” 최의소 고려대 명예교수는 하수처리에 주목했다. 최 교수는 1970~1980년대 한국의 경험을 통해 물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국국제협력단(KOICA) 중장기 자문단으로 에콰도르에 파견됐다. 거기에서 최 교수는 하수처리 ...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μm 이하의 먼지다. 갑자기 미세먼지가 습격하는 바람에 개념이 잘못 잡힌 것이다. 이종태 고려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으니 이참에 국제기준에 맞게 용어를 바꾸자”고 주장한다. 외국처럼 PM2.5의 정식명칭을 미세먼지, PM1.0을 초미세먼지로 정해야 한다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