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대"(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밀공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협력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 정밀공학연구실을 비롯해 KAIST, 연세대, 고려대 등 내로라하는 대학들에 각각 정밀공학을 연구하는 연구실이 자리하고 있다.4 무엇을 배우나요?정밀공학은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연마해야 하는 학문의 종류도 다양하고 범위도 넓다. 그 중 ... ...
- 수학·과학 영재와 수학능력시험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모집하고, 정시 모집에서 18명을 모집한다. 서울대 일반전형 47명, 연세대 과학인재 21명, 고려대 특별전형 13명, 성균관대 특기자 5명 등 86명은 수능과 관계없이 선발하는데, 주 타깃이 과학고와 영재고 출신자다. 일반고 올림피아드 출전자와 경시대회 상위 입상자, 수학·과학 내신 성적 우수자가 ... ...
- INTRO. 힉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Part 1 CERN에 가다 -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 ]Part 2 힉스, 등장에서 관측까지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부여한다는 말은 잘못”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물리학자들이 오래도록 찾아 헤매던 일명 ‘신의 입자’가 드디어 발견된 걸까. 지난 7월 4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오랫동안 찾 ...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힉스 입자 vs. 힉스 메커니즘도대체 힉스 입자가 뭐기에 이렇게 세상이 떠들썩한 걸까. 신문이나 방송을 보면 ‘힉스 입자가 다른 모든 입자들의 질량을 준다’고 하는데, 이 말은 또 무슨 뜻일까. 무엇보다 이 입자를 발견한다는 건 왜, 얼마나 중요한 걸까.질량 주는 건 ‘힉스 입자’ 아닌 ‘힉스 ...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표준모형에서 말하는 힉스인지 10년은 더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준곤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도 “두 개의 광자로 붕괴했기 때문에 (힉스 입자의 특징과 같은) 스핀이 0인 스칼라 입자로 추정할 수 있지만, 다른 특성들을 포함해 더 연구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스핀은 힉스 여부를 ... ...
- 재료공학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대학에서 재료공학을 가르친다. 서울대에는 ‘재료공학부’, KAIST,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등 많은 학교에서는 ‘신소재공학부(과)’가 있다. 화공재료공학부, 나노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과 등 학과가 모두 재료공학을 가르치는 학과다.4 뭘 배우나요?‘재료공학개론’에서는 원자구조와 결합, ...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정을 드러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시계를 두 개 다 참고한다고 답했죠. 두 분 모두 웃으셨고 면접 분위기가 좋아졌어요. ‘고려대 대자보 자퇴’ 사태에 대한 질문도 하셨고, 제 꿈에 대해서도 물으셨어요. 자신의 꿈과 관련된 분야는 확실히 알고 가는 것이 좋아요.”질문을 유도할 만한 거리를 갖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 ...
- 2014, 수능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정시모집의 우선 선발도 수학과 과탐 성적 중심으로 선발할 공산이 크다. 이미 고려대는 이를 고려해 2013학년도 입시부터 수학(40%)과 과탐(40%) 성적을 중심으로 우선 선발하기로 결정했다. 자연계열 학생들은 국어의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수학과 과탐 학습 비중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3. 국어B, 영어B ...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고교 10개 중 과학고가 4개다. 게다가 연세대, KAIST, 포스텍, 고려대 등으로 범위를 넓히면 더욱 그러하다. 과학고로 미리 진로를 결정하고 대학 수준의 강의와 학습, 개별 연구로 최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는 것도 일종의 매력적인 대입전략이다. 과학영재교와 과학고 입시 ...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대거 해외 유학에 나섰다. 그러니 국내 대학은 교수가 없는 대학이 태반이었다. 김정흠 고려대 교수는 57년 유학을 떠나기 직전 혼자서 서울에 있는 거의 모든 대학의 주요 과목을 가르쳐야 했다.유학을 떠난 교수들이 박사 과정을 마치고 대학으로 되돌아오면서 1960년 전후로 각 대학 물리학과 및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