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컴퍼스
나침의
나침판
로지
수정기
d라이브러리
"
나침반
"(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해변에서는 지구자기가 이동하거나 갑자기 떨어진다.박사와 연구동료인 그의 부인은
나침반
으로 북쪽바늘이나 남쪽바늘을 따라 미로를 탈출하도록 꿀벌을 훈련시켰다. 그런 다음 강한 자기장을 걸어 꿀벌안에 있는 자철광 결정의 자화 방향을 반대로 바꿔 놓았다. 그 후의 실험에서 벌들은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따라 재정렬하게 된다. 하나하나의 분자쌍극자의 움직임은 지구자기의 방향을 찾아
나침반
의 바늘이 움직이는 것과 유사하다.이 과정에서 각 분자 쌍극자들 사이에서는 마찰이 일어나 열이 발생한다. 만약 외부전기장의 극성방향을 바꾸어 주는 빈도를 매우 빠르게 하면, 그 발생열은 대단한 정도로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아서 지구자기를 감지하는 능력을 소별시킨 뒤에 비둘기를 놓아주면 맑은 날에는 태양
나침반
을 활용해 방향을 찾지만 흐린 날에는 자기장 감각에 혼란이 생겨 집을 찾지 못하게 된다.비둘기는 일단 낯익은 장소에 돌아오면 한번 날아본 적이 있는 장소를 잘 기억하므로 기억을 더듬어 둥지로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콩을 3mm에서 15mm까지 싹을 트게 했고
나침반
을 3분간 집중해 본 뒤 주먹을 좌우로 돌려
나침반
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했다.시계를 11시에 맞춰 놓고 '돌아가라'라고 30초 동안 소리치자 시계가 반대방향으로 35분 돌아 10시 25분이 돼 버렸다. 달걀 부화도 시험해 3분뒤 껍질이 갈라지기는 했으나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다(특히 흐린 날씨일 때 보조로 사용). 최근에는 고래와 참치 등도 머리속의 자침을
나침반
으로 이용, 먼 바다를 왕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지구자장이 크게 변할 때 이들 생물체가 받을 영향 또한 매우 클 것이다. 그래서 생물자기학자(生物磁氣學者)들은 지구자장의 역전이 생물진화에 큰 ... ...
태양표면 폭발로 지구 자기폭풍발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압축돼 강도가 증가하고 오로라가 발생한다.자기폭풍 동안에 중위도 지방에서는
나침반
방향이 1°정도 움직이며 고위도 지방에서는 그보다 더 심하게 변화한다. 오로라도 저위도 지방까지 이동하는데 이번의 경우 미국의 버지니아와 오클라호마 샌프란시스코의 남쪽을 잇는 선에서 목격됐지만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열중한다.하마는 야간여행을 할 때 이렇게 곳곳에 뿌려 놓은 자신의 배설물의 냄새를
나침반
으로 삼는다. 여행도중에 큰 비라도 만나 배설물이 모두 씻겨 내려가면 하마는 원래의 장소에 되돌아가지 못하고 방황한다.창경원은 하마동물원하마가 식사하는 모습을 보면 우습기 짝이 없다. 입술은 마치 ... ...
미로의 운전자에
나침반
제공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맞아 더욱 돋보인 시기였다.평상시에도 매일 교통전쟁을 치러야하는 서울시민에게
나침반
이 될만한 교통정보를 만들어 전하는 곳은 바로 시경교통관제센터. 71년 교통정보센터로 문을 연 이곳은 올해 새로 지은 시경찰국 건물에 입주하면서 시설도 대폭 강화했다.흔히 교통관제센터의 역할을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큰 파도가 일어나는 바다에서 길을 잃었을 때에는 반드시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는
나침반
이 필요하겠지요.자연현상을 바로볼 수 있는 시각이 마련될 때까지는 질문에 대한 핵심이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장 필요합니다. 아람군의 경우 평범한 가설로 대답하면서도 문제를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아름다운 것이었다. 이 오목해시계들은 속에 지남침을 넣어 시간을 측정하게 했다. 또
나침반
으로 쓸수 있었다. 길을 가다가도 언제나 시간과 방위를 측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지금까지 전해오는 것들 중에서도 19세기 후반 강윤(姜潤)과 강건(姜建)이 제작하나 해시계는 정말 멋있기 그지 없다. ... ...
이전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