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컴퍼스
나침의
나침판
로지
수정기
스페셜
"
나침반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착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암호라는 사실을 알려주지 못한 탓이었다. 1번 활주로는
나침반
의 북쪽에서 10도 방향으로 착륙한다는 뜻이고 19번 활주로는 남쪽에서 10도 방향으로 착륙한다는 뜻이다. 사고 여객기가 마지막 선택이었던 동체착륙을 시도하기 전의 상황에 대한 정보도 매우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서 아프리카까지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4
하기 때문에 접근하기 매우 까다로운 연구다. 연구진은 “나방 생체 내에 정교한
나침반
시스템이 있어 계절이나 바람 조건과 무관하게 이동 궤적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 ...
2050년까지 탄소제로 실현 위해 재생에너지 70.8%·원전 6.1%…전기차·수소차 보급률 97%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전환과정을 전망한 것이다. 위원회는 “부문별 세부 정책방향과 전환속도를 가늠하는
나침반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시나리오 초안은 기존 체계와 구조를 활용하면서 기술발전과 연료 전환을 고려하는 1안, 화석연료를 줄이고 생활양식 변화를 통해 온실가스를 추가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철새 몸속 ‘살아있는
나침반
’
동아사이언스
l
2021.06.26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유럽 울새의 눈은 이른바 ‘살아있는
나침반
’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철새 동물에서 자기장에 민감한 분자의 존재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 ...
타이타닉호를 침몰로 몰고 간 건 '천문현상'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설치된
나침반
이 기능을 상실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진코바 연구원은 “
나침반
이 정상항로에서 0.5도라도 오차가 생기면 배는 안전에서 멀어질 수 있다”며 “사소한 오차가 정상 항해냐, 빙산 충돌이냐로 이어지는 큰 결과를 낳는다”고 설명했다. 지자기 폭풍이 다른 배들과의 통신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실험하던 중 전지를 연결한 도선 주변에서
나침반
이 움직이는 현상을 발견했다.
나침반
이 움직였다는 것은 뭔가 자석의 작용, 또는 자기효과가 있었다는 말이다. 그런데 자석이 없어도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마치 자석이 있는 것처럼 자기효과를 낼 수 있다. 이는 그때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집단면역 이론과 개학 연기
2020.04.01
무작정 거부할 수는 없다. 오히려 집단면역이론을 방역 정책의 구체적인 방향을 찾는
나침반
으로 활용해야 한다. 집단면역 효과가 나타나는 한계치는 재생산 지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래서 재생산 지수가 줄어들면 집단면역 효과가 나타나는 한계치도 내려간다. 만약 재생산 지수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가치가 많은 일에 인류의 역량을 집중시킨다.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선원들을 이끌어주는
나침반
과도 같고 낯선 초행길을 안내해 주는 GPS와도 같다. 질문의 가치가 여기 있다. 우리도 오래 전부터 수업이나 강연이나 세미나 때 질문을 많이 하라는 말들을 많이 해 왔다. 돌이켜보면 왜 질문이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길을 찾는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아직 사람의 뇌세포에서 미니
나침반
이라고 부를 만한 배열을 지닌 자철석 결정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두 번째는 ‘크립토크롬 모형(cryptochrome model)’으로 사실 이번 실험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는 가설이다. 동물의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2022년 달에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유인 탐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전 세계 우주 개발의
나침반
이 달로 향하고 있다. 내년은 1969년 아폴로 11호의 우주 비행사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지 5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구글 루나 X프라이즈에 참가한 일본의 하쿠토(HAKUTO) 팀이 개발한 달 탐사 로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