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쌍을 가리킨다. 육촌 소수는 섹시(sexy) 소수라고도 하는데 라틴어로 6(six)이 ‘sex’기 때문이다. 사촌에 육촌까지 나왔으니 팔촌도 없을 리가. 간격이 8인 소수 쌍은 ‘팔촌 소수’다. 이렇게 수가 커질수록 소수 사이의 간격도 점점 커진다. 그렇다면 나란히 있는 두 소수의 차이가 가장 큰 값은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필즈상을 거머쥐었다. 필즈상 수상 이후 그는 대중 강연에서 종종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때마다 소수의 아름다움에 대해 연설한다. 메이나드 교수는 2022년 필즈상 시상식 당시 와의 인터뷰에서 “열정적이고 또 열정적인 수학자로 기억됐으면 좋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는데, 그의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현대 사회까지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결과를 남겼음에도 1831년 암으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제르맹은 수학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훗날 가우스는 제르맹의 업적을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공개하기 때문에 공개키라고 한다. 비밀키는 암호를 푸는 키로 쓰는데, 자신만 가지기 때문에 비밀키 또는 개인키라고 한다. 예를 들어 RSA 암호는 두 소수(예로 11과 19)를 암호를 푸는 비밀키로 이용하고 두 소수를 곱해서 나온 수(209)를 공개키로 이용한다. 그러면 비밀키에서 공개키를 구하는 건 ...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살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때 찍어서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이런 선택의 순간에 관한 ‘몬티 홀 문제’가 있어요. 1963년부터 40년간 방영된 미국 오락 프로그램인 ‘Let’s make a deal(거래를 합시다)’에 나온 문제로, 당시 진행자인 몬티 홀의 이름을 따서 붙였어요. 언뜻 생각하기에는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2족보행 로봇이 전력을 더 많이 소모한다. 두 다리로 균형을 잡는 데 배터리 소모가 크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 4족보행 로봇이 배터리를 한 번 충전하면 3시간 가량 활동할 수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경우 이보다 더 짧은 시간동안 활용할 수 있을테니 상용화에 큰 벽이 되리란 예측이다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추정되지만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이 삶의 지혜는 귤은 물론 다른 구형 물건을 포장할 때도 유효합니다. 만약 친구에게 잘 깎은 수제 대포알 12알을 선물할 일이 생긴다면 덩어리보다는 소시지 형태로 포장하는 게 포장지를 아끼는 방법이겠죠? 구 쌓기 문제는 선물 포장 말고도 훨씬 넓게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등 환경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준다는 뜻입니다. 돌이켜보면, 제가 원형 탈모를 앓았던 때 역시 스트레스가 큰 대학원 졸업 무렵이었고요.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받은 후 며칠은 무슨 일만 생기면 ‘유전자 탓’으로 돌리곤 했습니다. “편집장님, 늦잠 자서 죄송합니다. 그런데 제가 유전자 검사 결과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검찰의 수사과정에서 화학물질에 대한 더 자세한 감정이 필요해지는 순간이 있다. 이럴 때 활약하는 부서가 바로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DNA화학분석과다. 이곳에서 수행하는 법화학 감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1월 2일 오후,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DNA화학분석과의 법화학실을 찾았다.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삼조다. 유 CTO는 “트랜스포머 모델은 디코딩 과정이 반복되며 단어를 하나씩 생성하기 때문에 한 번의 디코딩 과정이 끝나면 배칭을 풀고, 완료된 명령은 빼고, 새롭게 들어온 명령을 포함해서 다시 배칭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생성 AI 트랜스포머 모델의 특징을 활용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