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가노이드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다 똑같던 세포들이 어떻게 서로 다른 기관으로 자라는 걸까? 그건 세포들이 어떤 단백질을 만들어내는지 등에 따라 달라져. 과학자들은 오가노이드를 만들기 위해 이 과정에 주목했어. 특정 장기가 되기 위해 주변에 꼭 있어야만 하는 물질이 무엇인지 알면 실험실에서 원하는 장기를 만들 수 ... ...
- [헷갈린 과학] 흑당 VS. 흑설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원당)’이 분리된다(1차 정제). 여기서 원료당을 탈색하면(2차 정제) 백설탕, 이후 백설탕에 분리했던 당밀을 섞으면 갈색설탕이 된다. 여기에 시럽이나 카라멜 색소를 넣으면 색이 더 어두워지는데, 이를 흑설탕으로 부른다. 진짜 흑설탕인지, 갈색설탕인지 확인할 땐 제품 뒷면의 원료에 시럽이나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막연한 동경이 있었다. 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면 어떨까. 그길로 유학을 결심했다. 백발의 할머니가 고급 스포츠카에서 내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도시 샌디에이고에 반해 그는 2011년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하지만 도시의 낭만과 대학원생의 삶 ...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독감바이러스와는 달리 코로나바이러스는 아직 백신이 개발된 적이 없어 접종할 수준의 백신을 만들려면 시간이 꽤 걸릴 것이다. 설사 나오더라도 여러 차례 임상시험을 거쳐야 하는 만큼 올해 안에 제품화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하는 전문가들이 많다.한편 영화에서는 치료제 얘기가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뼈만으로 바이킹의 식단을 알아낼 수 있었어요. 어떻게 했느냐고요? 뼈의 콜라겐 단백질에 함유된 동위원소의 비율을 알면 가능하답니다.우리가 먹은 음식의 원소는 몸에 흡수되어 뼈에 쌓여요. 그런데, 우리가 먹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흡수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이 조금씩 다르답니다. 예를 들어,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됩니다. 저의 경우 같은 학교의 연구자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의 연구자와도 협력합니다. 백 교수와의 협력도 그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얘기하다 보니 저는 전 세계에 친구가 있는 셈이네요(웃음). Q. 과학자를 꿈꾸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조언을 해준다면요?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똑똑하고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용한 로봇이 발표됐어요.주인공은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의 제이미 백 교수가 만든 ‘트라이봇’이에요.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모양이 변했다가 원래 모습을 기억해 돌아오는 금속인데, 트라이봇은 두 다리 사이 마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달았어요. 스프링이 온도에 따라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중 가장 매력적인 5가지를 꼽아봤다. #1. 호버보드상상1980년대 최고의 SF영화 흥행작 ‘백 투 더 퓨처’에는 상상 속 과학기술이 다수 등장해 실제로 공학자들에게 많은 영감을 줬다. 그중에서도 단연 주목받은 아이템은 호버보드다. 영화 속 주인공은 2015년의 미래로 시간여행을 떠나는데, 그곳에서 ... ...
- [1920~2020, 로봇 100년] 로봇 혁명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봇으로 수술을 받는다. 사람처럼 생긴 로봇이 두 발로 걷는 것으로 모자라 앞구르기와 백덤블링까지 해낸다. 그야말로 ‘로봇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로봇이라는 단어의 탄생부터 최첨단 휴머노이드까지, 지난 100년에 걸친 로봇 혁명의 역사를 되짚어봤다. 상상 속 로봇을 그리다 1920년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장 좋은 장소는 당연히 그 사람의 실험실이다. 실험 장비를 직접 한 번 보는 것이 백 마디의 설명보다 빠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보통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실험실을 소개하는 걸 기꺼이 환영하지만, 아주 가끔 여러 이유로 실험실을 방문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이번에는 그의 연구 분야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