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울특별시
서울
d라이브러리
"
서울시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제기는 오해로 밝혀졌다. 환경부는 “한강 밤섬의 람사르 습지 등록은 지난 2010년 7월
서울시
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현재 밤섬에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매와 2급인 큰기러기를 비롯해 582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지난해 지정된 제주도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잔류염소 4.0mg/L, 총트리할로메탄 0.1mg/L, 클로로포름 0.08mg/L처럼 수질기준을 정해놓았다.
서울시
는 “이 기준을 넘지 않는 물은 하루에 2L씩 70년간 마셔도 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스위스는 가정집마다 하수 처리 시스템을 도입해 ‘버리는 물’마저 비교적 깨끗한 상태로 하수구에 흘러가도록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축소되는 자연계 경시대회 2012년부터
서울시
교육청 주관 수학·과학 경시대회가 모두 폐지된다. 바로 사교육 때문이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경시대회 수상경력의 중요성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자 중학생은 물론이고 초등학생까지도 경시대회를 대비한 사교육에 뛰어들었다. 이에 교육청은 주관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9년에 비해 10.1%나 증가했지요. 특히 개가 1만 1120마리, 고양이는 7092마리로 가장 많았어요.
서울시
는 유기동물을 발견하면 보호시설로 보낸 뒤, 동물보호관리시스템 (www.animal.go.kr)에 공고를 내고 주인을 찾아 줘요. 하지만 공고된 지 10일이 지나도록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입양시키거나 안락사를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대상도 받았다. 신도림고의 윤미선 선생님을 만나 학교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서울시
교육청이 실시한 서울지역 고교선택제 1단계에서 2010학년도 17:1, 2011학년도에는 19:1의 최상위경쟁률을 기록했다. 인근 지역의 전통적인 명문고들을 제친 비결이 무엇인가?신설 학교이지만 학생들에게 완벽한 ... ...
“책 속의 과학? 실험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실험 등 다양한 실험을 한다. 이런 실전 경험은 실험 설계를 직접 하고 결과를 쓰는 ‘
서울시
고등학생 과학탐구대회’에 나갔을 때 빛을 발했고 은상을 탈 수 있었다.“수학처럼 답이 딱딱 나오는 게 좋아요.”수학을 좋아하는 범진 군은 방과후에도 같은 반 친구들과 수학을 연구해서 11월에 열린 ... ...
학생의, 학생에 의힌, 학생을 위한 수학체험전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주제의 수학체험전이다. 올해로 2회를 맞는 수학체험전은 미동초 학생들을 중심으로
서울시
서부교육청 소속 15개 학교의 수학 영재학급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준비했다. 모두 10개의 부스가 준비된 이번 행사에서 수학교구를 선정하는 것부터 교구 소개까지 대부분을 학생들끼리 스스로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관내 지원자 중 과학중점과정 정원의 50%를 추첨 배정받는다. 2차로 1차 탈락자를 포함해
서울시
전체 지원자 중 나머지 50%를 추첨 배정 받는다.과학중점과정을 운영한 이후 이공계 성향의 학생들 지원이 늘었는가?과학중점과정 외에 일반과정은 일반고와 동일하다. 하지만 아무래도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하나고는 독특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자율형 사립고다. 국제학술심포지엄도 개최할 만큼 학생들의 실력이 뛰어나다. 올해 입시 전형에는 내신성적 반영 교과를 전교과로 확대했다. 하나고 유동훈 입학관리실장을 만나 하나고의 입학에 대한 궁금중을 풀어봤다.지난해,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런데 하수처리용량을 키우는 일이 만만치 않다. 지난해 가을 광화문 홍수가 난 뒤
서울시
는 중앙집중식 처리의 연장선에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을 짓기로 발표했다. 도심 깊은 곳에 대형 빗물저장 공간을 만들어 홍수대응 시간을 10~15분 정도 벌기로 한 것이다. 이 계획은 많은 예산이 들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