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으)로 총 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좋겠다고 생각했다.스마트폰을 이용한 꿀벌탐사 방법➊ 스마트폰에 ‘GPS memo’ 앱을 설치한다.➋ 꿀벌이 있는 장소를 찾는다.➌ 꿀벌의 사진을 여러 각도에서 찍는다.➍ GPS memo 앱에서 ‘latitude’와 ‘longitude’ 두 가지 GPS정보를 확인한다.➎ ‘과학특별시’(cafe.naver.com/dsciencecity)’에 접속해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이거나 지워져서는 안 되는 글자들이었다. “저 앞에 있는 갈림길, 저기를 뭐라고 설명해야 하죠?” 통역에게 물었다. 통역은 운전기사가 말하는 대로 그 갈림길의 위치를 알려주었다. 윤희나는 그 내용을 그대로 번역해서 종이에 옮겨 적었다. 그리고 전날처럼 소리를 내어 말하며 이런 글을 그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여부를 밝히면 물리학은 전혀 새로운 세계에 돌입한다. 우선 초대칭이론은 중력을 설명할 수 있다. 표준모형에는 없는 ‘중력자’라는 입자가 있어서 중력을 주고 받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5배나 많지만 전혀 관측이 되지 않는 ‘암흑물질’의 후보 물질도 확 늘어난다. ... ...
- 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강한 힘을 내는 중장비의 심장은 ‘디젤엔진’이다. 석탄 광산에 쓰이는 한 대형 굴착기의 디젤엔진은 4000마력, 즉 말 4000마리가 끄는 힘을 낼 수 있다. 이렇게 강한 디 ...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PART 2 중장비 끝판왕 TOP 5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태평양의 여러 섬들에 차례로 퍼졌고 결국 필리핀으로 들어왔다는 것이다.또 다른 가설은 유럽인들의 신대륙 발견 이전에 이미 고구마가 확산되기 시작했다는 쿠마라 루트다. 남미 페루에서 이스터섬, 뉴질랜드, 화와이로 전파된 뒤, 폴리네시아, 뉴기니아 등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하는 최루성분이 양파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양파에 들어있는 ‘S-프로페닐 시스테인 설폭사이드’라는 물질이 양파를 써는 동안 ‘알리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티오프로파날-S-옥사이드’로 변하게 되는데, 이 물질이 눈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티오프로파날- S-옥사이드는 휘발성이고,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미지 중에서 고양이 그림을 식별해 내는 일을 시켰다. 물론 사람의 도움은 전혀 없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어떤 이미지가 고양이인지 여러 자료를 통해 알아내고, 이어서 1000만 개의 이미지 중에서 고양이 그림을 가려내는 데 성공했다.구글이 인공신경망 연구에 뛰어든 것은 이를 이용하면 검색을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과학자들은 보호색을 띠고 있는 애벌레도 자외선을 보는 새에게는 두드러져 보인다고 설명한다. 황조롱이의 눈에는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 부근에서 들쥐를 쉽게 사냥한다.적외선으로 굴 안에 숨은 먹이를 투시한다뱀은 머리에 적외선 탐지기가 있다. 적외선에 예민한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공장’인미토콘드리아가 중립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 우스꽝스럽지만, 당시에는 중립설이 그만큼 막강했습니다.인류의 기원 수수께끼는 제2라운드로이제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해 기원을 거슬러간 수많은 연구들을 재검토 해야 할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더구나 유전학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샤프 형제가 발명한 신호탑 통신법은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장비가 속속 개발되면서 점차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하지만 ‘조합’이라는 수학적인 개념을 이용해 다양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은 새로운 통신법 등장에 영향을 미쳤다.그 중에서도 뱃사람들이 사용하는 깃발 신호는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