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학설
원리
견해
의견
혀
혓바닥
스페셜
"
설
"(으)로 총 2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조기 대선 집어삼킨 AI 공약 현실적인가
2025.04.23
고마울 뿐이다. ● 더욱 멀어져 버린 명예회복의 꿈 과학기술이 다시 국정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한껏 들떴던 적이 있었다. 그런데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국정운영'을 위해서 대통령실에 '과학기술수석'을 두고 과학기술 전문가로 구성하는 '민관합동위원회'를 운영하겠다던 부질없는 '공약'(空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매머드 털 가진 털북숭이 생쥐의 진실
2025.03.19
생쥐(
설
치류)와 사람(영장류)이 다르듯이 생쥐와 매머드(장비류)도 다를 것”이라고
설
명했다. 생쥐의 유전자를 매머드의 털 관련 변이형으로 바꿔도 별 효과가 없는 게 뜻밖의 결과는 아니라는 얘기 같은데 만일 E실험에서 극적인 털북숭이 생쥐가 나왔다면 어떤 말을 했을까 싶다. 그리고 생쥐 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짜뉴스'로 이득 보는 사람 있다
2025.03.08
믿는다는 이유로 친구와 가족들로부터도 버림받은 사람들의 경우 자기처럼 지구 평평
설
을 굳게 믿어서 박해 받는 사람들과 더 깊은 연대감을 보이곤 한다. 우리들은 소위 깨어 있는 자들이고 남들은 안타깝게도 어둠 속을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보이기도 한다. 그 안에서 점점 더 허무맹랑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도 있었다. 놀랍게도 모두 언론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던 특정 대학의 이공계 교수였다. 어
설
픈 과학자만 국민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던 것도 아니다. 인문학자의 억지도 만만치 않았다. '진보의 과학'과 '보수의 과학' 중 '어느 쪽 과학'이 옳은지를 모르겠다고 당당하게 주장하는 부끄러운 역사학자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선무당의 해괴한 주장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이명박 정부의 철저하게 실패해 버린 어
설
픈 교육개혁을 다시 반복할 수는 없는 일이다. 교육부가 AI 디지털 교과서의 졸속 시행을 거부하는 청원에 서명한 학부모가 5만 명이 넘는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교육부가 겉으로는 '사교육 카르텔'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과학기술계의 개혁'이 단골 메뉴로 등장했던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이제 국내에서
설
자리를 잃어버린 과학자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이공계 인력의 해외 유출이 30만 명을 훌쩍 넘어선 것이 그 결과다. 애써 길러놓은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이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인지에 찾아내야 한다. 이제 자신의 과학적 근거만 옳다고 우기는 독단·독선·불통은
설
자리가 없다. 정부가 의사와 무조건적인 '대화'에 나서야 한다. 정부가 양보했으니 의사도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은 소모적이고 치졸한 기(氣) 싸움일 뿐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사이언스게시판] KIST, 개원 58주년 기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주요 전시관 소개영상 등 과학기술 수어해
설
영상 제작, 과학관 관람환경 개선, 과학기술용어 수어 개발 및 가이드북 제작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건강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성능 시험'에 관한 국제 표준 2건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
설
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짠맛’이 날 것이라는 주장도 화학에 대한 무지를 보여주는 황당한 상상력이다. 제
설
제가 편리한 것은 아무도 거부할 수 없는 진실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넘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세상에는 공짜가 절대 없는 법이다. 우리에게 성가신 눈을 말끔하게 녹여주는 대가도 반드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
설
’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전통 음식이다. 물론 UN이 매년 발행하는 기념우표의 ‘중국
설
’(Chinese New Year)은 ‘음력
설
’(Lunar New Year)로 바꾸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