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재"(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따라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육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개정교육과정의 목표 또한 융합형 인재 양성에 있다. 진로에 대한 탐색도 이런 시대적 흐름에 발을 맞출 필요가 있다. 유망 직종에만 매달리기 보다는 본인의 소질과 능력을 바탕으로 진로를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선행돼야 할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국가 발전을 위한다면 과학영재를 잘 키워놓는 게 중요합니다. 인재를 키우는 데는 두 가지가 중요하지요. 하나는 지식을심어주는 겁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지식 외적인 면에서 성숙하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바로 도전정신, 창의력, 혁신적인 생각 등이지요.” 다시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현재는 중국인 뿐 아니라 외국인 석학을 유치하기 위한 천인계획도 진행 중이다. 인재를 위한 아낌없는 양적 투자가 중국 과학기술의 성장을 가속화한 원동력이 됐다. 토종 과학자들에게 달아준 날개최근엔 중국 내 토종 과학자들의 활약도 눈에 띈다. 베이징 곳곳에선 중국 국립연구기관인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쉽게 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좋은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POSTECH이 추구하는 인재”라고 강조했다. 잠재력 면접에서는 주로 고등학교 때 어떤 활동을 했는지에 대해 묻는다. 주로 학생부와 교사추천서,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토대로 질문을 던진다. 학생 연구 활동인 R&E(Research &Education)나 과학 ... ...
- Intro. 안전한 스마트시티 만들 숨은 튜링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데 크게 일조한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처럼 암호가 생명인 시대에 발군의 실력을 발휘할 인재를 찾고 있는 겁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안전한 스마트시티 만들 숨은 튜링을 찾아라!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Part 2. 화이트해커가 필요해![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AIST의 경우 연구를 하고 싶어서 지원하는 학생이 많다”며 “KAIST에서 원하는 인재상도 이와 일맥상통한다”고 말했다. 자소서에는 어떤 노력을 했는지 기술때문에 KAIST는 선발 과정에서 지원자의 과학적인 소양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신 입학처장은 “지원자 대부분이 고등학교에서 수행한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선발 기준과 비중을 가지고, 자신들이 생각하는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한다. 학교의 인재상, 설립 이념, 학교나 학과별 특색을 통해 대학이 갖고 있는 우수함의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개별 기준 외에 대학마다 공통으로 포함하는 평가 기준은 학생의 학업 역량과 성장 가능성,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영재 육성이라는 설립 이념 아래 최근 4년간 졸업생 100%가 이공계열로 진학했다. 이공계 인재의 산실, 과학영재학교로 가는 길을 김동훈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에게 들어봤다. 입학 전형 3단계로 이뤄져과학영재학교의 입학전형은 3단계로 구성돼 있다. 1단계 학생기록물 평가(서류 평가),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교수를 지도했던 프랑스 수학자 제라르 로몽 교수 제자 중에 정수론의 주요 문제를 푼 인재가 있다며 모렐 교수를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모렐이 수상자가 되면 로몽 교수는 2002년의 로랑 라포르그까지 합쳐 3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한 지도자가 된다며 호들갑을 떨었었습니다. 물론 그 예측은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추가되면서 현재 한국과학창의재단의 모습을 갖췄다. 박 이사장은 “앞으로는 창의융합인재가 매우 중요한데, 융합은 창의를 구현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라며 “유(有)와 유(有)를 융합해 새로운 유(有)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폰을 융합형 창의의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