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머리 뒷모습만 촬영하는 사진 작가
팝뉴스
l
2017.08.28
남성의 뒷머리만을 집요하게 찍고 있다. 그리하여 탄생한 그녀의 작품 ‘드러난
두개골
Exposed Skull’ 시리즈는 모델 개개인 보다는 백인남성 일반의 모습을 표현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크리스틴은 그 모습에서 “자신의 일부를 발견한다”고 말한다. “나는 이제 걸어 다니면서 대머리 남성의 ... ...
호박 속에 생생하게 남은 9900만 년 전 아기 새
과학동아
l
2017.08.07
것으로 알려진 새의 먼 조상 ‘에난티오르니테스(enantiornithes)’다. 이 화석은 특별하게도
두개골
과 목, 다리, 날개 등의 연조직과 골조직이 거의 완벽하게 보존됐다. 중국지구과학대 생물지질학 및 환경지질학실험실 리다 싱 연구원팀은 이를 통해 약 9900만 년 전 화석 속에 갇힌 에난티오르니테스가 ... ...
머리에 투구 달린 신종 공룡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용어임. 연구팀은 2015년 간저우에서 약 8360만 년 전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룡의
두개골
을 발견해 ‘후이난사우르스’라 명명한 적 있는데, 이번 코리소랩터 자콥시가 이와 가까운 종이라고 분석했다. 2015년 중국 간저우 지방에서 발견된 후이난사우르스 상상도 - Chinese Academy of Geological ... ...
드라마 속 '충격으로 인한 기억상실증' 왜 생기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7.11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효소인 ‘c-Jun 인산화효소(JNK)’의 변화가 꼽힌다. 연구팀은
두개골
에 물리적 충격을 가해 외상성 치매에 걸리게 한 쥐에서 정상 쥐보다 JNK가 많이 활성화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JNK가 활성하지 않도록 억제하자 외상성 치매 증상이 억제되는 것도 관찰했다. 김 교수는 ... ...
친구 잃은 돌고래 ‘태지’의 이상행동, 왜 그런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2
20㎐~2만㎐를 감지할 수 있는 사람보다 훨씬 가청 범위가 넓어요. 돌고래의 머리
두개골
과 초음파로 소통하는 원리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고래의 의사소통의 핵심은 마치 휘파람처럼 들리는 초음파를 주고 받는 것입니다. 숨을 쉬는 분수공에서 만든 초음파가 돌고래 머리 중 사람의 이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우리가 익숙한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차이보다 적지 않을까. 글과 함께 실린
두개골
비교 사진을 보면 그런 것 같다. 1962년 전문가들조차 이 화석을 ‘아프리카의 네안데르탈인’이라고 불렀을 정도다. 43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은 옆에 있는 6만~4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과 안와 상부 융기 등 얼굴 ... ...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06.20
거의 완벽하게 보존돼 있었다. 키는 약 1m 정도로 팔과 골반은 트로오돈티드 초기 종과,
두개골
과 다리는 후기 종과 유사했다. 연구팀은 초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전이종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현생 조류와 같은 비대칭적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당시 이 공룡이 날 수 ... ...
현생 인류, 10만 년 더 일찍 출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긴 원시적 형태를 띠었다. 연구에 참여한 필리프 군츠 막스플랑크연구소 박사는 “
두개골
의 형태는 뇌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현대인의 얼굴 형태는 호모 사피엔스 출현 초기에 형성됐지만, 뇌는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 이후에도 계속해서 진화해왔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연구를 진행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정밀한 신체측정 결과 여우개는 개처럼
두개골
이 작아지고 주둥이가 짧아지고 다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체형이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올 봄에 태어난 새끼들은 58번째 세대다. ● 선택 안 된 여우 분양해 2000년대 들어 연구소에서 태어나는 ... ...
고래의 폭풍 성장은 빙하기에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7
멸종 고래와 현재 생존하고 있는 13종의 수염고래의
두개골
을 비교해 계통분석을 했다.
두개골
의 폭을 바탕으로 해부학적으로 비율을 따져 고래의 전체 크기를 추측한 것이다. 논문 1저자인 시카고대 지구물리과학과 슬라터 그라함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북반구에 빙하기가 오면서 파나마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