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0가지 길이를 측정해 SNP와의 관련성을 조사했는데 5가지에서 관련된 자리를 찾았다. 먼저
두개골
폭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4번 염색체와 20번 염색체)이고 양안 간격(두 눈 사이 거리)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번 염색체와 X염색체)이었다. 코 넓이와 관련된 자리가 한 곳(20번 염색체), 콧방울에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⑤ 나는 왜 합리적이지 못할까?
2017.04.23
뇌는 범용 컴퓨터이기보다는, 여러 가지 전용 앱이 깔린 스마트폰에 가깝다. 그림은
두개골
의 각 부분에, 각각 해당하는 기능이 다르다고 생각한 골상학의 개념도. - wikimedia 제공 ● 너무나도 인간적인, 인지적 오류 다음 문제를 잘 읽고 답을 생각해보십시오. 전구 두 개가 무작위로 점멸한다. 다만 A ... ...
“헤레라사우르스는 공룡이 아니다?”…공룡 가족사 ‘막장드라마’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헤레라사우루스의
두개골
구조. 연구진은 삐뚤빼뚤하게 난 ‘이형치아’를 토대로 헤레라사우루스가 초식과 육식을 모두 아우른 잡식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 위키미디어 제공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공룡 중 하나인 ‘헤레라사우루스’가 실제로는 공룡이 아닐 수 있다는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약 13억 원)를 들여 고인류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연구실을 만들었다. 이번
두개골
이 발굴된 지점과 한반도는 1000km가 조금 더 되는 거리다. 그리고 10만 년 전이면 한반도는 반도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 데니소바인의 뼈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공각기동대’ 사이보그 여전사, 현실에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사용한다. 2012년 피츠버그대 의대 연구진은 9년 동안 사지를 움직일 수 없었던 환자의
두개골
을 열고 두뇌에 직접 전극을 시술했다. 환자는 이 시술 후 침대머리에 설치된 로봇 팔을 생각만으로 움직여 초콜릿이나 커피 등 음식을 스스로 집어 먹었다. 국내에선 신형철 한림대 교수 팀이 이 ... ...
[위기탈출 넘버3] 뇌진탕 위험있는 인기 스포츠 3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공에 직접 머리를 맞는 사건도 있었다. 지난해 퓨처스 리그에서 LG 트윈스 김광삼 선수가
두개골
에 금이 가는 부상을 입었다. 다행히 선수 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는 판정을 받았지만 자칫했으면 생명에 위협이 되는 부상이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MLB)에서는 투수용 ... ...
두개골
열지 않고도 뇌 치료 효과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1
이용해 비침습성 치료와 준침습성 치료의 효과를 비교했다. 길이 5㎜의 티타늄 채널을
두개골
에 심어 자극을 가하자 기존 치료에 비해 자극은 5배 높아졌고, 뉴런의 활성화 정도는 11배 커졌다. 티타늄 채널이 전극과 뇌 사이를 이어 전극에서 가해지는 전류가 손실 없이 뇌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 ...
고대 중국에서
두개골
수술을?
과학동아
l
2017.01.04
동안 고고학자들은 유럽과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고대 문명에서 잘린
두개골
을 발굴해
두개골
절제술이 이들 문명에서 시작됐다고만 알려졌다”며 “그러나 고대 중국에도 관련 증거가 많으며, 자료들이 영어로 번역되지 않아 이런 오해가 쌓였다”고 밝혔다 ... ...
‘2천년전 25살 미녀’
팝뉴스
l
2016.12.02
이미지다. 지난 8월 호주 멜버른 대학교가 공개한 사진과 영상 속 얼굴은 2천년된 미라의
두개골
을 3D프린트로 제작한 후 법의학 정보와 컴퓨터 기술로 얼굴을 복원해서 만들었다. 여전히 해외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는 이 ‘이집트 미녀’는 25살 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강한 ... ...
전기신호로 뇌 속 신경세포 자극하는 방법 찾았다
2016.11.23
UC버클리 제공
두개골
을 여는 수술 없이도 뇌 깊은 곳의 신경 신호를 자극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기억력 증대, 간질이나 우울증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합성신경생물학그룹 니르 그로스만 연구원팀은 두피에 전극을 붙이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