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침투 막을 새 유전자 표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세포를 이용해 만든 세포주인 Caco-2 가운데 ACE2(보라색) 단백질을 면역 기술을 이용해
형광
염색해 관찰한 영상이다. 왼쪽은 표적을 정하지 않은(NT) gRNA를 넣은 경우(즉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억제하지 않은 경우)이고, 오른쪽은 암 유발 단백질인 Ras와 관련이 있는 단백질로 이번 연구에서 코로나19 ... ...
"
형광
신호로 장 내 염증 진단한다" 스마트 미생물 개발
연합뉴스
l
2020.10.14
대장·분변 샘플에서의
형광
단백질 증가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분변 시료에서의
형광
세기 분석만으로도 대장 내 염증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이대희 박사는 "비침습적 염증성 장 질환 진단 기술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센서스 ... ...
[프리미엄 리포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
2020.10.09
이용해 4중나선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형광
화합물의 결합력이 높으면
형광
물질을 적게 쓰고도 시시각각 변하는 4중나선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4중나선 표적 치료 가능할까 4중나선 구조는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발라수브라마니안 교수팀은 4중나선 구조가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분의 1,m) 크기의 나노 입자가 들어가고 여기에 자외선을 쪼이면 크기에 따라 다른 파장의
형광
이 발생해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기존에는 이렇게 정교하게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뒤죽박죽 섞인 입자에서 필요한 크기를 골라 썼는데, 현 교수는 단번에 일정한 크기로 입자를 생산해 효율성을 100 ... ...
[프리미엄 리포트] 푸드파이터의 폭풍흡입, 훈련하면 늘까
과학동아
l
2020.09.26
잠재적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2007년 네이선 핫도그 먹기 대회 선수들의 위 크기 변화를
형광
투시 기법으로 관찰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연구팀 역시 “폭식이 반복될 경우 포만감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진다”며 “(폭식을 반복하면) 체중 조절의 의지가 약해지는 중년기에 비만이 되거나, ... ...
'햄버거병' 일으키는 독소 신속 진단…휴대형 기기 개발
연합뉴스
l
2020.09.23
해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장 출혈성 대장균에서 생성되는 시가독소에
형광
표지를 하는 방법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독소를 검출할 수 있는 휴대형 광학 검출기기를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약한 신호를 증폭 시켜 2pg/㎕(마이크로리터 ... ...
신종 감염병, 30분 만에 진단하는 새 유전자 기반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새 RNA를 만든다. 새 RNA는 완성되면 스스로 꼬이면서 입체 구조를 갖는데, 이 구조는
형광
물질과 결합해 빛을 낸다. 이 방법으로 연구팀은 30~50분 만에 적은 양의 표적 RNA를 검출하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네이처 의공학 논문 캡쳐 이 모든 과정은 하나의 시약병 안에서 별도 조작 없이 한 번에 ... ...
결장암 발병 원인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녹색
형광
은 RNF43 단백질이다. 구본경 IMBA 책임연구자는 "두 세포에서 RNF43의 위치가 달라
형광
이 다르게 보인다"며 "그 의미를 알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홋카이도대 제공 대장암의 일종인 결장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혀온 세포 내 단백질 돌연변이의 정체와 구체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쥐에게도 백신을 접종해야 할까
2020.08.19
동굴에서 다른 박쥐가 로다민B가 칠해진 박쥐를 그루밍하는 과정에서 입 주변에 묻으면
형광
을 띤다. 한 달 뒤 포획한 박쥐에서 로다민B가 검출된 박쥐의 수는 칠한 박쥐 수의 2.6배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재생산지수가 1.5~2.1로 나왔다. 연구자들은 광견병바이러스 백신을 묻히는 ... ...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STED) 등 초분해능 광학현미경이 대표적이다. STED는 레이저를 여러 번 발사해
형광
물질의 빛 방출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방법으로 빛의 파장 한계인 ‘아베한계’로 그 동안 보지 못하던 20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미만의 단백질과 바이러스 등 관찰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강한 빛에 의해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