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전자, 안전성·효율 다 잡은 차세대 QLED기술 '네이처'에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방식(전계방출)은 EL이라고 부르고, 빛을 받아 다른 파장의 빛으로 변화시키는 일종의
형광
방식을 PL이라고 부른다. QLED는 퀀텀닷의 발광 특성을 이용해 색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다. 빛을 내는 반도체의 크기가 작은 만큼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고, 표현하는 가시광선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인 ... ...
세포가 스스로 유지하는 원리 '미끼'와 '사냥꾼'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미끼’로 만들고 RNA를 조절하는 특정 단백질인 ‘사냥꾼’이 미끼와 결합하면 미끼의
형광
이 꺼지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 결과 단백질분해 복합체인 ‘26S 프로테아좀’이 제어 RNA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분해 효소들과 결합하고 단백질들의 양을 조절해 유전자 형성을 조절하는 PTGS 작용에 ... ...
호박(琥珀) 속 곤충서 9천900만년 전 꽃가루 매개 확인
연합뉴스
l
2019.11.12
흔한 진정쌍자엽식물(eudicots)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꽃가루 알갱이가
형광
물질 아래서는 빛이 나 어두운색을 가진 곤충 각질과 강렬하게 대비되는 점을 활용해 초점공유 레이저 현미경을 활용해 꽃가루를 분석했다. 종자식물은 밑씨가 씨방 안에 들어있는 속씨식물과 밖으로 ... ...
줄기세포 고감도 영상으로 추적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뇌졸중 동물모델에 적용해 근적외선
형광
영상과 MRI 영상으로 줄기세포를 14일간 안정적으로 관찰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줄기세포가 전분화능을 잃지 않고, 세포 독성 발현을 최소화시킨 덕분이다. 김광명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 ...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옵토바디’ 기술을 개발했다. 먼저 빛을 비추면 녹색의 빛을 내는 단백질인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찾아낼 수 있는 가장 작은 항체 ‘GFP 나노바디’를 만들었다. GFP 나노바디는 평소 두 조각으로 나뉘어 비활성화돼 있는데, 여기에 파란색 빛을 쪼여주면 서로 결합하면서 스위치를 켠 것처럼 ... ...
'블랙홀 그림자' 관측한 과학자들 노벨상 받을 수 있을까 …올해 노벨상 관전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2
중요하게 여겨지던 새로운 ‘도구’의 발명도 두 건 있었다. 극저온현미경(2017년)과
형광
현미경(2014년)이 수상했다. 준결정(2012년)과 다층 모형(2013년) 등 이론화학도 두 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통 화학 분야인 합성 분야 수상이 없었다. 오랜만에 합성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올지 관심을 모은다. ... ...
韓美연구팀, 패혈증 2시간 내 검출하는 진단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개발했다. 이 분석법은 혈액에서 패혈증 관련 단백질 바이오마커만을 선택적으로 결합해
형광
이미지를 구현한다. 박 연구원은 “패혈증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3000만명 이상 발병하고 발병 후 일주일 이내 치사율이 20%인 매우 위험한 질병”이라며 “2시간 이내에 패혈증을 확진할 수 있는 ... ...
암 재발의 근원 암줄기세포만 콕 찍어주는
형광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항암 치료 효과도 확인했다. 폐암에 걸리게 한 생쥐에 100마이크로몰농도(μM)의
형광
물질을 이틀 간격으로 주사한 결과 종양 성장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을 주입하지 않은 쥐는 종양이 점점 자라 1.14g에 이른 반면, 고농도 타이니어를 주사한 쥐는 무게가 0.16g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생존율도 ... ...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09.03
연구팀이 인간의 담석에
형광
표지를 한 뒤 촬영한 사진. 붉은색은 DNA를, 초록색은 호중구가 방출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호중구엘라스타제를 나타낸다. FAU 제공 독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에를랑겐 뉘른베르크대(FAU) 연구팀이 면역세포의 활동이 담석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 ...
벌레 이용해 만성 장 질환 치료 후보물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1
유해 장내균을 먹인 결과 몸의 투명성이 낮아지고
형광
물질(녹색)이 축적되는 현상이 관찰됐다(왼쪽). 반면 장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되는 물질을 섭취하자 투명도가 개선됐다. KIST 연구팀은 이렇게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해 장 질환 개선 식의약품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KIST 제공 벌레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