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주변세포, 줄기세포처럼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1
접촉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생쥐를 유방암에 걸리게 한 뒤 세포에
형광
단백질을 넣어 주변세포의 특성을 관찰했다. 유방암 세포가 폐로 전이됐을 때 암세포 주변의 폐세포가 정상세포와 달리 줄기세포와 유사한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변세포를 빼내 실험실에서 ... ...
암 중심부까지 약물 보내는 '트로이 목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전달한 결과 약물이 암 중심부까지 전달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IBS 제공 약물 전달과정을
형광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면역세포 표면에 부착된 나노입자가 면역세포에 의해 종양 내부까지 운반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방암에 걸린 동물을 상대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약물을 혈관으로 주입했을 ... ...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노로바이러스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한인 과학자가 이끄는 미국 애리조나대 연구팀이 저농도 노로바이러스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센서를 개발했다. 애리조나대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이 ... 붙어 있다. 만약 샘플 안에 노로바이러스가 있어 항체들이 들러붙으면 그 개수만큼
형광
신호가 나타난다. 애리조나대 ... ...
암세포 공격력 4배 향상된 나노입자-NK세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향상됐다. 또한 나노입자에는 자성을 띠는 아연-철 산화물과 근적외선에 활성화하는
형광
분자가 들어 있어 기존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체내에서 NK세포가 어디에 있고 어디로 움직이는지 추적 가능했다. 연구를 이끈 박경순 차의과학대 의생명과학과 교수는 "차세대 항암면역세포치료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Z*W)과 일반 수탉(ZZ) 사이에서 얻은 달걀에 빛을 쪼여주면 오직 수컷 달걀(ZZ*)만 노란색
형광
을 내기 때문에 쉽게 감별할 수 있다. eggXYt 유튜브 캡처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행복 호르몬 냄새 맡는 '인공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기판 위에 뚫은 미세한 구멍 위에 공 모양의 3차원 인공 세포구조물을 설치한 장비를
형광
현미경을 찍은 사진. KIST 제공 사람의 후각처럼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반도체 칩이 개발됐다. 생체 감각기관을 모사한 세포 구조물을 인공으로 구현한 것으로 향후 청각 등 다른 감각에 응용해 오감을 정밀하게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불리는 음극선관(CRT) 모니터는 탄산칼슘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전자를
형광
물질에 부딪쳐 빛을 내는데, 역시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대체되고 있다. 이 교수는 “X선 튜브가 다음 차례”라고 말했다. 기존 열음극 X선 튜브와 이 교수가 개발한 그래핀-탄소나노튜브 기반 ... ...
살아있는 동물 뇌 속을 훤히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홀로그램 현미경을 사용해 생체조직 깊은 곳까지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
형광
표지 인자를 사용하지 않고 수 주 이상 성장한 살아있는 제브라피쉬의 후뇌부에서 고해상도 뇌신경망 영상을 얻었다”며 “제브라피쉬는 성장할수록 후뇌부를 덮는 부위에 비늘이 두껍게 형성돼 내부를 ... ...
치매 유발하는 뇌 찌꺼기 배출경로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쥐를 사용했다. 실험쥐의 머리뼈를 얇게 박피하고 뇌척수액에
형광
물질을 주입했다. 그런 다음 자기공명영상(MRI) 실험을 통해 뇌척수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뇌 하부에 위치한 뇌막 림프관을 통해 뇌에 쌓인 대사산물을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에서 살균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 소재나 쥐의 뇌를 열지 않고도 뇌 회로를 관찰하는 새
형광
물질을 발굴했다”고 말했다. 천연물의 연구는 미래형 농장인 스마트팜과 융합하고 있다. 스마트팜은 첨단 과학과 정보통신기술(ICT)로 농장의 온실이나 축사를 관리하는 신개념 농장이다. 천연물은 같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