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피도
박테리아
나 엔테로코쿠스, 대장균(무해한 균주)의 비율이 늘어났다. 연구자들은 “위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사과의 식이섬유와 페놀화합물이 비만으로 변화된 장내미생물 조성으로 인한 대사질환을 ... ...
돈이 보이는 특허기술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8.12
수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다양한 방사성 요오드가 혼합된 폐수에 미생물(혐기성
박테리아
)과 구리(I)를 이용, 물에 용해된 요오드만 분리하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더불어, 추출된 요오드를 안정적으로 고정화하여 폐기물 보관 같은 방법으로 요오드 확산을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꼭 필요하단다. 구리(Cu)도 비슷하게 쓰인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다. 그리고 수년 전 비소
박테리아
논문이 나왔을 때 비소(As)도 극미량 필요하다는 구절을 읽었다(물론 인을 대신해 핵산 골격에 쓰이는 건 아니고). 셀레늄(Se)도 드물게 아미노산에서 황을 대신해 들어가는 일이 있다. 필자가 지금 짜낼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유전자변이) 감자만을 생산하고 있었단다. 그런데 갑자기 감자 잎마름병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
가 출현해 모든 감자가 죽어버린 거야. 그래서 감자가 주식이던 아일랜드인들의 1/4이 굶어 죽는 참변이 발생한 거지. 그런데 그 이후로도 인간의 욕심은 점점 더 유전자 다양성을 축소시켰고, 지금은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어렵다고 덧붙였다. 식물 변태론으로 이끈 계기가 된 기형 꽃을 피우는 장미가 기생
박테리아
의 농간으로 만들어진 좀비 식물이라는 사실을 괴테가 알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Alterrum(고대)’에 발표했다. 패보는 미라 근육에서 DNA를 추출하는데 성공했고 이 조각을
박테리아
의 플라스미드(원형 DNA)에 집어넣는데 성공했다(이 과정을 ‘클로닝’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DNA염기서열을 일부 분석했다. 이렇게 한창 외도하고 있을 때 버클리 앨런 윌슨 교수팀의 콰가 ... ...
박테리아
가 유출된 기름을 분해한다?
KISTI
l
2014.03.11
490만bbl 중 적어도 40만bbl 이상의 원유를 이들이 제거했다고 보고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박테리아
가 인간이 일부러 유전자 조작을 해서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이에 하젠 박사는 먹잇감이 극히 부족한 심해 지역에 자생하는 생물체 중에는 탄화수소를 이용해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화학자들을 의기소침하게 할 정도로 구조가 복잡한 여러 분자를 만들어내는 생명체에서
박테리아
화학자들의 일터로 전락했다면,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17일자 온라인판에는 해면의 체면을 살려준 논문이 실렸다. 덴마크와 미국의 연구자들은 해면 실험을 통해 지구에서 동물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받은 뒤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에 가서도 노벨상수상자인 자크 모노와 함께 점심을 하며
박테리아
유전학과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화제로 삼았다고 한다. 1960년대 스탠퍼드대에 자리를 잡은 헤르첸버그는 세포를 분류하는 자동화된 장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직접 만들기로 했다. 그는 엔지니어와 ... ...
[채널A] 초소형 ‘
박테리아
로봇’ 개발…암치료 새 길 열린다
채널A
l
2013.12.18
겁니다. [인터뷰: 박종오/전남대 박테리오봇융합연구단 단장] 박테리오봇의 핵심은
박테리아
가 스스로 암을 선택적으로 찾아가게 하는데, 다른 건강한 생체 세포를 상하지 않고 암에만 타격이 된다는 것... 연구진은 살모넬라균의 유전자를 조작해 독성을 100만분의 1까지 줄였습니다. 쥐 실험 결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