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것. 이와 관련한 좀 더 구체적인 이론 하나가 바로 ‘기생충 가설’이다. 우리 몸에는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을 퇴치하기 위한 ‘제1형 면역계’(독감백신은 이 면역계를 활성화한다)와 맨눈에도 보이는 벌레인 기생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2형 면역계’가 있다. 그런데 기생충을 잡으라고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박테리아
질환에서 구해줄 항생제로 쓸 생각을 하지 않았고 그저
박테리아
연구에서
박테리아
성장을 조절할 때 쓰는 정도였다. 그는 페니실린을 더 연구하지 않고 다른 주제로 옮겼다. 페니실린은 발견되고 10년 뒤인 1938년, 나치를 피해 영국으로 건너온 독일의 생화학자 에른스트 체인이 천연 ... ...
박테리아
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길이라고 믿는 사고방식이 주류인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전략에 30억 년 역사를 갖는
박테리아
가 항복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인체는 미생물들이 거주하는 생태계라는 관점이 오히려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는 출발이 아닐까. 여우가 사라지고 토끼가 들끓어 황폐해진 숲을 회복시키겠다고 ... ...
박테리아
이용한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합성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슈퍼커패시터의 축전용량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박테리아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 분말 입자들 사이의 미세기공 덕분에 전해질 내 이온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에너지저장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4,000번 이상의 충방전 후에도 저장효율이 95% 이상을 ... ...
[채널A] 땀 막으려다 피부 ‘비명’…데오드란트 부작용 주의
채널A
l
2013.07.14
형성합니다. 반면 데오드란트는 땀도 일부 억제하지만 냄새를 유발하는 피부 표면
박테리아
를 제거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따라서 데오드란트는 수시로 사용해도 되지만 땀 억제는 일주일에 2~3번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 구소연/피부과 전문의] 땀 억제제를 데오드란트처럼 잘못 ... ...
[채널A] 의사들, ‘나비 넥타이’ 맨 이유 들어보니…
채널A
l
2013.06.16
미국에서도 의사 40명과 경비원 10명의 넥타이를 비교한 결과 경비원에게서는 1개만 슈퍼
박테리아
에 감염된 반면 의사 넥타이는 절반이 감염된 걸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손정일 /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주임교수] 처음엔 없잖아 어색하긴 했지만 병원 감염 줄일 수 있어 도움 된다고 하고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
채널A
l
2013.06.04
합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잡니다. [리포트] 여름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
인 대장균입니다. 은나노 입자를 주입한 지 15분이 지나자 대장균이 찢어지기 시작하더니 30분이 지나자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변했습니다. 은나노가 대장균을 모두 죽인 겁니다. 이 은나노는 장염의 원인인 ... ...
박테리아
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구형 모양임. 복합체 위에 고정된 은 나노입자가 이빨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접촉하는
박테리아
를 물어뜯고, 표면의 은 나노입자와 이온이 바이러스를 흡착하여 치명적 효과를 주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KIST 우경자 박사는“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구조의 나노복합 소재를 개발해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차지하는 부분은 얼마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사람의 게놈은
박테리아
게놈보다 대략 1000배나 더 크다. 그렇지만, 유전자도 1000배가 되는 것은 아니다. 겨우 10배 정도라는 것이 후일에 밝혀졌다. 정크 DNA라는 용어는 1928년 한국에서 태어난 일본인으로 훗날 미국 시민이 된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얻으면서 자연을 완벽에 가깝게 모사해냈다. 질소 비료를 대량으로 생산하면서 뿌리혹
박테리아
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아도 되었고, 가시덤불은 철조망으로 대체되었으며, 도꼬마리의 미세한 갈고리는 벨크로로 생산되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에나 사용이 가능해졌다. 자연을 모방하려는 인류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