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스페셜
"
순간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람다 변이는 '제2의 델타 변이'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83%를 차지하는 델타 변이에 비하면 작은 규모이지만, 전파력이 센 특성을 가진 만큼 어느
순간
람다 변이가 급속히 확산할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 람다 변이가 백신의 예방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요소다.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진이 ‘바이오아카이브’ 7월 19일자에 발표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기 방랑자 털매머드의 생애 기록된 상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8.15
상아에도 그대로 저장된다. 팻 드러켄밀러 북부 박물관 관장은 "매머드는 태어나는
순간
부터 죽을 때까지의 일기장이 상아에 기록돼 있다"며 "대자연은 일반적으로 한 개체의 삶에 대해 그런 평생에 걸친 기록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매머드는 북극권에 가까운 알래스카 북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액체 분자 하나까지 초고해상 촬영, 전기화학발광의 마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4
세포가 담긴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전극에서 용액 분자가 산화 반응을 일으킬 때
순간
적으로 방출되는 광자를 이용해 세포 이미지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10ms(밀리초) 동안 1만5000프레임의 이미지를 결합해 22nm 수준의 고해상도 세포 이미지를 촬영했다. 네이처는 이 ... ...
[우주외교포럼] "미국 우주정책, 우주에서의 책임감 있는 행동에 초점"
2021.08.12
순간
도 호주를 통해 전세계에 중계하며 호주인들이 인류가 최초로 달에 발을 붙이는
순간
을 봤다”며 “이렇게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는 정책이 NASA에서 지금도 잘 이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칼 로드리게스 호주우주청 국제협력국장도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호주는 우주 분야 국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날랜 다람쥐 나뭇가지 오가는 비밀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뛰기만 하면 착지한다는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제공
순간
적으로 최고의 도약 전략을 찾는 모습도 보였다. 다람쥐는 너무 빠르거나 혹은 너무 느린 속도로 공중으로 뛰면 다양한 착륙 기동을 이용해 이를 보완했다. 너무 멀리 뛰면 나뭇가지를 중심으로 앞으로 구르며 ... ...
주말도 낮 기온 36도 찜통 더위…일부 지역 강한 소나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곳이 있겠다. 강수량은 6일은 5~60mm, 7일은 10~70mm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국지적으로
순간
풍속 시속 55km의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30mm 이상 강한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며 “특히 7일 오전 2시부터 7시 사이 강원영동에 시간당 50mm 이상 강한 소나기가 오는 곳이 있겠으니 ... ...
[올림픽의 과학]은메달과 동메달 행복감 별 차이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반면 동메달 선수는 7.1점으로 더 높았다고 밝혔다. 시상식 포디엄에서 메달을 목에 건
순간
에도 동메달리스트의 행복도는 5.7점으로 은메달리스트의 4.3점보다 높았다. 은메달리스트의 얼굴은 울상이거나 무표정이 많았지만 동메달리스트는 환하게 웃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2004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인체는 코로나19에 어떤 면역반응을 나타내나
2021.08.03
반응, 즉 ‘사이토카인 폭풍’의 구체적 내막을 밝혔다고 평가되었다. 연구를 결심한
순간
부터 논문 최종 출판까지는 고작 4개월이 걸렸을 뿐이다. 신의철 교수 연구팀은 독감 환자와 건강한 사람, 그리고 경증(Mild) 및 중증(Severe) 코로나19 환자의 혈액에서 내 여러 유형의 면역세포의 특성을 ... ...
[올림픽의 과학]키가 작아도 높이 뛰려면 '엉덩이를 들어라'
수학동아
l
2021.08.03
들어 올릴 수 있는 높이 H₂다. H₁에서 바까지의 거리에 해당한다. 발을 구르는
순간
수직 방향의 속도가 빠를수록 H₂ 값이 커진다. 수평 방향의 속도를 수직 방향으로 바꾸는 훈련을 열심히 해야 하는 이유다. 세 번째인 H₃는 뛰어오른 뒤, 무게중심이 가장 높이 올라간 위치와 바 사이의 높이를 ... ...
[올림픽의 과학] 33년 만에 깨진 여자 100m 기록은 ‘번개 트랙’ 덕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02
딱딱하면서도 탄성력은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게 했다. 또 선수의 발이 바닥에 닫는
순간
충격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반발력이 선수의 발에 고르게 전달된다. 도쿄올림픽에 사용된 몬도트랙의 아래층은 3차원 공기 구멍을 넣은 구조로 제작했다. 몬도 제공 몬도트랙의 아래층에는 육각형 공기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