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주
이주
스페셜
"
이번주
"(으)로 총 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업데이트] 임상3상 돌입 코로나19 백신 최소 3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1상을 실시 중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16일 로이터통신과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번주
3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상을 마쳤고 8~9월 중 수천 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임상3상을 실시할 예정이다. ●임상 1~2상은 약 20종…전임상 포함 163종 중 60%는 ‘단백질 및 전달체 방식’ WHO에 임상 ... ...
[표지로 읽는 과학]여러달 걸릴 실험 며칠 만에 끝내는 '로봇 화학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1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로봇이 등장한다. 자동차 공장 등 산업현장에 널리 사용되는 팔 모양의 로봇이다. 하지만 자동차 부품 대신 화학약품이 담긴 플라스크를 들고 있다. 로봇이 있는 곳은 공장이 아니라 화학 실험실이다. 앤드루 쿠퍼 영국 리버풀대 화학과 교수팀은 상용화된 로봇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미생물 품은 오아시스 ‘기사회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05
물 공급원 중 하나인 ‘라 포자 아줄 II(La Poza Azul II)’라는 이름의 오아시스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 실린 이 곳은 고대 바다에 존재했던 미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지역 농업을 위한 배수로 이용되면서 오아시스가 보존하고 있던 독특한 미생물 생태계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빛이 가지를 치며 뻗어 나가는 모습을 관찰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렇게 빛이 가지를 치며 퍼지는 모습을 관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으로 만든 빛을 얇은 비누막에 통과시킨 후 이를 실험 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했다. 그 결과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 인류 생존의 일등공신 '썰매개'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장식했다. 약 1만 년에 걸친 북극 지역 썰매개의 진화 역사를 고게놈 연구로 밝힌 논문이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미켈홀더 신딩 덴마크 코펜하겐대 글로브연구소 연구원팀은 현생 그린란드 썰매개와 고대의 시베리아 썰매개, 고대 늑대의 게놈을 해독한 뒤 비교 분석했다. 그 ... ...
[표지로 읽는 과학]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막는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억제하는 약물 두 개를 설계해 지난 4월 23일 이같은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이번주
표지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단백질과 화합물의 결합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이 단백질에 결합해 활성을 떨어뜨리는 후보약물 두 개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두 화합물의 이름을 ‘11a’와 ‘11b’로 붙였다. ... ...
보건연구원, 질병관리청 소속으로 남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주관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날 당정청이 확정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이번주
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당정청은 이번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최우선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5일 오전 진행된 코로나19 관련 정례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질의 제5상태’ 미세중력 상태에서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응축'이라는 특수한 상태의 물질을 구현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는 데 성공한 연구가
이번주
네이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로버트 톰슨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팀은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한 실험시설을 이용해 루비듐 기체를 냉각해 특정한 원자 상태로 배열하는 방법으로 보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해질과 액체 금속의 연결고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암모니아 용액에 전자 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때 일어나는 변화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암모니아 용액은 전해질이 어떻게 금속으로 바뀌는지 추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전해질의 전기 절연체는 금속으로 바뀌면서 색상 변화도 생긴다. 투명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 튕겨내는 '초소수성' 유지하며 강성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6
연구원팀은 이런 단점을 개선한 초소수성 표면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초소수성 표면은 돌기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지 않는다. 두 가지 두께의 돌기를 가진 표면을 제작했다. 이런 방식을 통해 더 두꺼운 돌기가 표면의 강성을 높이고, 더 얇은 돌기는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