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덜덜덜...진동의 위력을 눈으로 느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춤을 춘답니다. 스피커만 있으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어요!왜이런일이?☞ 결과 : 스피커 위에서 반죽이 이리저리 움직인다.소리는 ‘공기의 진동’이에요. 공기의 진동이 귓속 고막을 진동시키면, 청각신경이 이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뇌로 전달해 소리를 듣는 거죠. 그래서 공기가 거의 없는 ... ...
- [보존과학] 그림에 난 상처, 되돌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평소에 물감, 안료, 기름 등 다양한 미술 재료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분석 결과를 저장해둬요. 국립현대미술관 김정흠 학예사는 “훗날 어떤 작가의 작품에 어떤 재료가 사용됐는지를 파악하고, 복원에 사용할 재료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국립현대미술관 김유진 학예사는 ... ...
- 우주에 뜬 인공 ‘눈’, 암흑선단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켜고 오징어를 잡는 배들을 이미지에 담을 수 있었어요.이렇게 얻은 이미지들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북한 어선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 배의 특징을 두 가지 발견했어요. 하나는 두 어선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함께 움직이며 대형 그물을 끄는 ‘쌍끌이 어선’이고, 다른 하나는 밤에 불을 켜는 ... ...
- [만화뉴스] 코로나19, 동물들도 걸릴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교수팀은 410종의 척추동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코로나19에 취약한 순으로 분류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동물과 인간의 ‘ACE2’ 단백질에 주목했어요. 코와 입 등에 분포하며 혈압을 조절하는 ACE2 단백질은 2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데 코로나19바이러스가 ACE2 단백질을 통해 세포 ... ...
- [가상인터뷰] 갯가재 핵 펀치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교수팀은 갯가재가 강력한 펀치를 날리는데도 뼈가 부서지지 않는 이유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 투과전자현미경과 원자간력현미경 등으로 갯가재의 앞발을 자세히 조사했지. 그 결과, 갯가재 앞발은 부드러운 단백질과 단단한 인산칼슘이 서로 결합하고 있는 걸 발견했지. 그 앞발 구조의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많아 오염도가 높은 곳에 기형 무당개구리 수가 더 많다’는 연구 가설과 일치하는 실험 결과였지요. 프로젝트에 참여한 지구우리사랑 팀 신지민 대원(서울, 송화초)은 “무당개구리를 처음 보았는데 이렇게 귀여운 무당개구리가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기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슬펐다”며, ... ...
- [만화뉴스] 소리로 그림을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11일, 기초과학연구원 김기문 단장 연구팀은 소리로 화학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먼저,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 위에 물이 담긴 페트리 접시를 올리고 관찰했어요. 소리에 의해 물결이 생겼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물결 간 간격이 좁아졌어요. 연구팀은 소리가 만든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표범' 하늘을 걷는 직지, 건강의 비결은 통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직지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자, 직지를 보러 동물원에 오시는 분들도 많아졌어요. 그 결과 직지는 동물원에서도 가장 잘 보이는 전시관으로 이사를 했어요. 낮에는 사람들이 많이 볼 수 있는 전시관에서 지내다가, 밤에는 내실에서 잠을 자는 생활을 보냈지요. 그로부터 3개월이 지난 뒤 직지는 ... ...
- [이달의 과학사] 존 스노의 ‘감염지도’, 런던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수는 그전부터 조금씩 줄어들고 있었거든요. 하지만 존 스노의 행동은 더욱 중요한 결과를 낳았어요. 콜레라가 물을 통해 전염된다는 증거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감염지도를 통해 전염병의 원인을 파악하면서 ‘역학’이라는 새로운 의학 분야를 만들어냈거든요. 존 스노의 감염지도는 이후 ... ...
- [탐험대학] 로켓, 키네틱아트, 인공위성 집중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이날 2시간 정도를 공들여 만든 벌룬샛에 낙하산을 매달아 무게를 재보았어요. 결과는 두 기의 벌룬샛 모두 1000g 초과! 학생들은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촬영 기기를 충전할 보조배터리도 더 작은 용량으로 바꿔서 겨우 무게를 맞출 수 있었답니다. 2주 뒤, 인공위성 팀은 벌룬샛을 띄우기 위해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