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신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울음소리는 종을 구분하고 진화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특징이거든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속은 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 노랑배청개구리 3종으로 늘어나게 됐답니다. 연구에 참여한 인포보스 배윤혁 연구원은 “노랑배청개구리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기도 해요.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은 또 생길 수 있잖아요. 연구 결과가 있어야 전염병에 대한 대책을 빠르고 정확하게 마련할 수 있답니다. Q 박쥐 연구가 특별한 점이 있을까요?박쥐는 야행성 동물이라 해가 져야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할 수 있어요. 주 서식지인 동굴을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이후 7대의 카메라로 182일간 150~200초 마다 한 번씩 모든 방향의 우주를 찍었지요. 그 결과, 엑스선을 내뿜는 천체를 백만 개 이상 발견했어요. 이는 지난 60년간 인류가 발견한 것보다 2배 많은 수예요. 또 이번 지도는 30년 전 독일항공우주센터(DLR)의 위성이 제작한 엑스선 우주 지도보다 4배 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콩의 변신은 무죄! 콩으로 두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답니다. 왜 이런 일이?→ 결과 : 식초와 사이다에서는 붉은색으로 바뀌고, 비눗물에서는 녹색으로 변했다. 어떤 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알아볼 수 있는 약품을 ‘지시약’이라고 해요. 보통 색의 변화에 따라 산성도를 파악할 수 있지요. ... ...
- [특집] 인공지능, 악플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연예인만 겪는 문제가 아니에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171명 중 39.2%가 “내가 쓴 게시글에 달린 악플을 보고 불쾌한 감정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어요.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63.3%가 “댓글을 올리기 전과 후에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시각화해서 볼 수 있는 스펙토그램으로 만들어 15년간의 소리를 비교 분석했어요. 그 결과 2013년 이후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소리는 진폭이 클수록 큰데, 2013년부터 진폭이 급격히 줄어 2014년 이후부터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였어요. 또 소리 데이터의 양도 2013년부터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40kg ÷ 0.4g = 10만 마리). 즉, 약 10만 마리의 개미가 있으면 어린이 한 명을 들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는군요.그런데 이런 일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개미는 커다란 먹이가 있으면 보통 자신이 들 수 있는 크기, 즉 턱에 들어올 정도의 크기로 먹이를 잘라 나르거든요. 그래서 개미한테 사람을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액체나 기체가 되는데, 배열이 일정하면 결합을 끊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일정해요. 그 결과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일정하지요.그런데 껌, 플라스틱, 유리 등 비결정성 고체는 입자들의 배열이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입자 사이의 거리나 결합하는 강도가 일정하지 않아요. 그래서 열을 가하면 결합력이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송환진 박사와 서울대학교 손병주 교수 역시 최근 집중 호우 경향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최근 20년의 여름철 강수 위성 자료, 지상 자료를 분석해 한반도의 강수 유형이 양극화 추세를 보인다고 밝혔죠. 우리나라에선 많은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내리는 장마 같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물려주며 자신의 특징을 전해줘요. 사람의 유전물질을 조사하는 게놈* 프로젝트 결과, 사람에게는 약 2만 개의 유전자가 있다는 것이 2013년 밝혀졌어요.이처럼 많은 유전자는 우리의 세포핵 속 ‘DNA’라고 불리는 유전 물질에 차곡차곡 쌓여있어요. DNA는 길게 늘이면 약 2m에 달하는 가닥으로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