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보드게임 타일은 왜 정사각형 아니면 정육각형일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크기가 같은 정사각형이나 정육각형으로 타일을 만들어요. 정오각형이나 정십이각형 등 여러 정다각형이 있는데 왜 정사각형이나 정육각형으로만 타일을 설계하는 걸까요? 여기에 수학적인 비밀이 숨어 있어요. 도형으로 평면이나 공간을 빈틈없이 채우는 것을 수학에서는 ‘테셀레이션’,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그래픽 예술이 되다! 픽셀 아트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표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는 사람의 생각이나 기분에 따라 작품의 해석이 달라지는 등 보는 이의 생각을 작품에 반영할 수 있지요. 이처럼 픽셀 아트는 게임 그래픽으로 출발해 예술의 한 장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어요. 게임으로서도 예술로서도 인기가 계속될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Piskel’,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따분한 수학은 가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하하. 수의 성질을 알아보는 ‘정수론’, 경우의 수를 따져 전략을 세우는 ‘게임 이론’ 등을 연구했어요. 많은 사람과 게임을 하면서 수학을 즐긴 덕분에 연구에 도움이 되는 좋은 아이디어도 많이 얻을 수 있었어요. 혼자서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게 수학의 전부는 아니랍니다. 친구와 함께 재밌는 ... ...
- [똥손 박 기자 수학체험실] 새해 해님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보석 팔찌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구슬의 개수는 그대로, 원 모양 구슬의 개수는 하나씩 늘어나요. 이렇게 모양이나 색깔 등이 일정한 형태로 번갈아 가며 나타날 때, 우리는 ‘반복’ 규칙을 찾을 수 있어요. 규칙을 파악하면 일일이 그려보거나 수를 세보지 않아도 그다음에 어떤 모양이 올지 알 수 있지요. 하얀 원 구슬과 오각형 ... ...
- [배우며 놀자, 똑똑하마] 다 물어버리겠다~! 악어 집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장도리(한쪽은 못을 박을 때, 다른 한쪽은 둘로 갈라져 있어 못을 뺄 때 쓰는 도구) 등이지요. 놀이기구인 시소에도 지레의 원리가 숨어있어요. 몸무게가 다른 두 친구가 시소를 탈 땐 앉는 위치를 다르게 해서 균형을 맞추지요. 무거운 사람이 받침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가벼운 사람이 ... ...
- 날짜가 정답 되는 달력이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월 1일 밑에는 ‘5-4’라고 적혀 있어요. 계산식뿐 아니라 도형 개수 세기, 각도 구하 기 등 여러 가지 수학으로 날짜를 표현했지요. 오늘은 며칠? 풀어야 보인다! 2022년 대한수학회 수학달력에 실린 퀴즈에 도전해 봐요! 어떤 날짜 밑에 아래와 같 은 퀴즈가 있다면, 그 날짜는 며칠일까요? 정답은 2 ... ...
- [이달의 필수경제] NFT라면 내 사진으로도 떼돈을?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과학자입니다만, 매머드 부활 연구를 하고, DNA를 기반으로 한 데이트앱을 개발하는 등의 논란을 일으킨 인물이기도 합니다. 월드와이드웹(WWW)을 개발해 세계를 인터넷으로 연결한 영국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리도 지난해 6월 WWW 원본 웹 브라우저의 소스 코드를 NFT 경매에 부쳤죠.개인의 금전적 ... ...
- [기고] 미래 세대 목소리 담은 ‘행동의 10년’ 시작됐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이행하기 위한 행보는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탄소중립 선언과 야심찬 2030년 NDC 발표 등을 통해 그동안 한국이 국제사회에 보여준 기후 리더십은 착실한 이행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진가를 인정받을 수 있다. 이제는 정부, 기업, 시민사회, 청소년, 모든 국민이 힘을 합쳐 약속 이행에 매진할 ... ...
- [엣지 사이언스] 트와이스 ‘Scientist’ 탐구보고서, 아인슈타인에게 사랑을 배운다고?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트와이스가 지난해 11월 발표한 신곡 ‘Scientist’는 아인슈타인, 사인(Sin), 코사인(Cos) 등 이과생들의 귀를 쫑긋하게 하는 단어들이 나열됐고, 앨범 재킷에는 정체 모를 수식과 실험도구들이 가득합니다. 이 정도면 본격적으로 ‘이과생 모여라’라고 손짓한 거 아닌가요? 물리학자 김상욱 경희대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필요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리콘 풍선의 모양과 두께, 강성 등 다양한 조건을 바꿔가면서 13번에 걸쳐 시험했다. 밸브도 7번에 걸쳐서 개발했다. 현재까지 약 1년이 지났지만, 리액트는 여전히 개발 단계에 있다. 문제에 공감한 많은 의료진이 시험을 돕고 있다. Q.리액트가 ... ...
이전2162172182192202212222232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