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미끌미끌 미끄러워 미꾸라지 VS 미꾸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다 자라면 몸길이 최대 25cm 정도로 미꾸라지보다 큽니다. 그리고 미꾸라지와 비교해 등과 배의 색깔이 선명하게 구분되지요.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미꾸리와 미꾸라지 모두 토종 물고기지만, 일본에는 미꾸리만 살고 있었어요. 수출입을 통해 미꾸라지가 미꾸리와 섞여 들어오자, 생존력이 뛰어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구독자 수 : 16만 명)전라북도에 있는 백제 유적의 한 커다란 구덩이에서 참외 씨, 밤껍질 등이 발견되었어요. 음식을 저장하는 창고냐고요? 아뇨! 이 구덩이는 바로 백제 사람들이 쓰던 화장실이었어요.사람들이 모여 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화장실이에요. 이번 영상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왕실, ... ...
- [과학 뉴스] 우주에서 태어난 ‘우주 고추’, 너는 무슨 맛이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있습니다. 지난 2019년 NASA는 추가로 고추를 재배하겠다고 발표했어요. 고추는 비타민 C 등 필수 영양소가 풍부하고 자체 미생물이 적어 변질의 위험이 낮거든요. 그래서 NASA는 고추가 우주 식량 후보로 적합하다고 결정했지요. 올해 6월, NASA는 고추 씨앗 48개를 ISS로 보내 한 달간 우주에서 키우기 ... ...
- [가상 인터뷰] 멸종위기조류 캘리포니아 콘도르, 아빠 없이도 새끼를 낳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동물원 내에서 사육 중인 콘도르와 야생 콘도르, 콘도르 알껍데기와 콘도르의 사체 등에서 표본을 확보해 유전자를 분석했습니다. 그렇게 유전자를 분석하는 와중 아빠의 유전자가 없는 두 마리의 콘도르를 발견한 거죠. 단성생식으로 태어난 개체들은 무사한가요?단성생식으로 탄생한 두 개체는 ... ...
- [현장 취재]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화학기자단이 묻다 "화학회사, 착한 화학 하고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흥미가 있어야 해요. 대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화학과나 화학공학과, 재료공학과 등의 화학 관련 전공을 하고, 박사까지 공부해야 하죠. 박사는 많이 아는 사람이 아니라, 한 분야를 깊이 있게 아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학창 시절을 보내며 ‘내가 좁은 분야에서 오랫동안 한 우물을 깊게 팔 수 있는 ... ...
- [해외취재➋] 나쁜 동물원이 문 닫으면 동물은 어디로 가나요? 집 잃은 동물의 집,생추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번째 임무는 교육입니다. 각 동물이 어떤 야생 환경에서 사는지, 야생을 어떻게 보전할지 등을 교육해야 합니다. 반면에 생추어리는 구조와 보호가 첫 번째 임무입니다. 갈 곳이 없는 야생동물을 죽을 때까지 돌보는 곳이지요.크레이그 대표는 생추어리 위를 높이 가로지르는 ‘야생으로의 1마일’ ... ...
- [통합과학 교과서] 화원을 되살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판단했어요.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기존의 감귤류 식물의 생물학적 정보에 RAB5a 유전자 등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에필로그“정말 아름다워요~!”메리는 한 달 만에 다시 싱그러워진 화원을 보고 감탄했어요.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부쩍 밝아진 ... ...
- [특집] 똥으로 알아냈다! 선사시대 사람들의 식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어요. 나아가 이번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곡물, 과일, 육류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이 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해 고된 육체 활동을 뒷받침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 ...
- [특집] 꿈인 줄 알았는데 현실?! 잠든 사람과 대화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참가자들이 렘수면● 상태에 접어들면 연구팀은 간단한 질문을 하거나 빛, 촉각 자극 등을 주었어요.연구팀은 참가자들이 깨면 꿈을 설명하도록 했어요. 그러자 참가자마다 다른 내용의 꿈속에서 자극을 인지하고 응답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어떤 참가자는 파티 도중 갑자기 허공에서 ‘당신은 ... ...
- [가상 인터뷰] 감염을 막아라! 꿀벌도 행하는 사회적 거리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개체들과 함께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는 동물을 뜻해요. 사회를 이루어 사는 개미, 사람 등도 사회적 동물에 속하죠! 집단생활은 천적으로부터 서로를 지켜주지만, 함께 모여 살기 때문에 전염병에는 취약합니다. 꿀벌도 사람처럼 거리두기를 한다고요?맞아요.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