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설탕과 알루미늄이 양초를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왁스로 탄소와 수소 성분으로 이뤄져 있는데, 한
분자
당 탄소 수는 20-35개 정도이며
분자
량은 3백-5백 정도다. 따라서 양초가 완전 연소되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발생한다.그러나 양초의 심지 부근은 산소와 접촉 기회가 적어 불완전 연소가 일어난다. 따라서 심지 부근에 알루미늄 대롱을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붓고 가열하면 미세결정구조가 흩어지고 깨지면서 불규칙하고 느슨해져 그 둘레를 물
분자
가 둘러싸게 된다. 결국 녹말은 마치 풀처럼 점성이 강한 액체가 된다. 이를 알파녹말이라고 하며, 이런 현상을 ‘호화’됐다고 말한다.호화가 일어난 알파녹말 상태가 되면 잘 만들어진 떡이나 밥을 먹을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못지 않게 공상적이다. 원자나
분자
가 스스로 물질을 조립해서
분자
기계가 탄생하고, 이
분자
기계는 체내의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다는 얘기처럼 말이다. 나노기술은 현실적으로 가능할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혁신적인 분야다. 때문에 일부 과학기술자는 나노기술의 실현에 회의적인 생각을 갖고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떨어지는 기술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나노잉크 공정은 DNA나 단백질과 같은 생물
분자
들을 비롯해서 다양한 물질을 금속 표면에 옮겨 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공정에는 물론 바이오칩과 같은 생명기술 분야에 이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나노잉크 공정에 대한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박교수와 박지웅씨는 2년 전 축구공처럼 생긴 탄소 플러렌
분자
를 이용한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죽이는 세포성 반응을 주로 담당한다. 이들 B 세포와 T 세포는 약 ${10}^{16}$ 정도의 외부
분자
를 구별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유전자가 ${10}^{5}$종류의 항체를 암호화하고 있다는 사실로 미뤄볼 때 매우 놀라운 점이다. 즉 항체는 특정 항원에 대해 정해진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항원에 ... ...
중국서 최초 꽃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심피(心皮) 안에 있기 때문이다. 심피는 꽃의 여성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1천6백여개의
분자
지표를 분석한 결과 은행나무와 같은 겉씨식물보다는 꽃을 피우는 속씨식물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이번에 발견된 화석 식물은 오늘날 주로 지상에서 자라는 개화식물과 달리 수련처럼 호수나 ... ...
4. 불교와 물리학의 기막힌 인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루고 그들이 모여 원자를 이루며 원자가 모여
분자
를 이루고, 그
분자
들이 생명체를 포함한 갖가지 물체를 만든다. 또한 이런 것들이 모여 천체를 이루고 천체가 모여 우주를 형성한다. 이렇듯 물질세계에는 여러 단계가 있고, 각 단계마다 실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 ... ...
작은 세포의 미니 생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줄어들어 정상 세포에 비해 2/3 밖에 안되는 작은 생쥐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 5월 10일
분자
생물학 저널(Developmental Cell)에 발표했다.이번 생쥐의 발견은 우연이었다. 세틀먼 박사는 Rho-GAP이라는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이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를 만들었다. Rho-GAP 단백질은 원래 세포의 내부 구조와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교류를 사용하는 미세 수정 저울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고
분자
박막에서의 복잡한 이온 이동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수 ng의 변화를 측정하는 나노과학의 기본 도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이외에도 전기화학연구실에서 거둔 연구성과는 한두가지가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