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하는 학생들의 IT 창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각 학과별 소수전공 심화과정을 운영한다. 여기에서 다루는 내용들은 대학에서 배우는
수준
까지 전문화돼 있다.교과외 활동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를 소개해달라.먼저 차별적으로 실시하는 선린특화프로그램이 있다. 독서능력인증제, 프로그래밍인증제, 봉사와 리더십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만드는 데까지 효율이 1%만 되도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현재는 0.1%도 안 되는
수준
이지만 이제 막 시작한 분야이므로 미래는 밝다”고 말했다. 제올라이트 촉매로 나프타 분해“어이쿠!”“촉매가 바닥에 좀 떨어졌네요. 입자 지름이 머리카락 두께 정도 밖에 안 되지만 공 형태라 미끄럽습니다.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양이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적다. 더구나 국내 검출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한참 낮은
수준
이다. 다만 한 번 배출돼 침착되기 시작한 방사성 물질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려야 정상화되는지에 대한 힌트는 얻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Part 1. 방사능 논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옷을 입고 다니는 일도 꿈은 아니다.고 교수팀은 지난 2008년 효율이 7%가 넘는 세계 최고
수준
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광자 100개를 받으면 7개의 전자를 내놓는다는 뜻이다. 2010년에는 2.4m×1.4m의 대형 패널도 개발했다. 패널을 만들 경우 효율은 5.5~5.8%가 된다. 고 교수는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말했다. 그는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화산성 지진을 감지하고
수준
계와 GPS를 통한 지표의 기울기와 팽창 정보, 화산성 가스 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에너지 해결책 찾아 지구 한바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읽으며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 사례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도 세계적
수준
의 핵융합 기술과 변산공동체 등 에너지 자립 마을이 있는데도 전혀 소개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이웃 일본과 중국, 홍콩 등 다른 아시아 국가의 사례는 여러 번 나온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해가 ... ...
성격의 근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퇴행’하는 사람도 있다. 심한 좌절에 부딪친 사람은 현재보다 훨씬 유치한 과거
수준
으로 후퇴한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어린아이처럼 치료진이나 가족에게 의존하는 모습이 해당한다.‘동일시’는 부모나 주변의 중요한 사람들의 태도나 행동을 닮아가는 것이다. 마음 속 충동을 용납할 수 ... ...
공장자동화의 추억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켰다. 실패를 하고 마음앓이 하는 시간도 있었고, 가까스로 사고없이 운영할 수 있는
수준
까지 만들고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기쁨을 느끼기도 했다. 박사과정에서도 한동안 공장자동화와 씨름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기반기술과 표준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치게 도전적인 목표를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느끼는 성취감은 돈으로 살 수 없지요. 물론 과학자들이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
의 대우는 필요합니다.최근 일본 원전사태로 소재와 부품이 모자라 고생하는 업체들이 많다고 합니다.오 일본은 우수한 소재와 부품을 만드는 기업체가 많기 때문에 이들 회사에 의존하고 있던 국내 많은 ... ...
인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좀더 가까운 점, 전두엽이 발달한 점 등을 들었다. 특히 두뇌 크기가 현생인류의 3분의 1
수준
인 420cm3에 불과한데도 다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보다 현생인류에 가까운 신체 특징이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두뇌 크기와 신체적 특징(예를 들면 직립보행)이 함께 변화했다는 기존 주장을 ... ...
이전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