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깊은 바닷속 퇴적층을 시추하는 기계, 태양광 판, 자동차와 비행기 부품, 기계 부품, 건설 소재 등 거의 모든 공업 분야에서 물질을 자를 때 사용되고 있답니다. 인공 다이아몬드, 이제 보석으로도 쓴다!올해 5월,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생산 기업인 영국의 ‘드 비어스’는 9월부터 인공 ... ...
- Part 4. 한반도 산은 지금 탈모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죠. 소나무도 몸살을 앓고 있어요. 소나무를 괴롭히는 건 1mm도 되지 않는 ‘소나무재선충’이라는 작은 벌레랍니다. 나무 안에서 빠르게 증식해서 수관을 모두 막아 말라 죽이지요. 우리나라에서만 벌써 수백만 그루의 소나무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려 죽었답니다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파장의 길이가 긴 자외선A, 중간인 B, 가장 짧은 C로 나뉘지요. 이중 여름철에 문제가 되는 건 자외선A와 B예요. 자외선C는 대부분 오존층에서 반사돼 우리 피부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반면 자외선 B는 5~10% 정도가 오존층을 통과하고, 자외선 A는 대부분 오존층을 통과해 피부를 손상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경험할 수 있는 곳! 지난 5월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을 방문했어요. 아름다운 건물 외관과 현대적인 실내 디자인 덕분에 마치 미래에 온 듯한 느낌이 들었지요. 이곳에서 자동차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물론, 안전을 위한 다양한 실험이나 에어백이 작동하는 원리도 배울 수 있었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녹색으로 만들지요. 과학자들은 인간에게는 독인 녹색 피가 도마뱀의 생존에 도움을 주는건지 궁금해 했어요. 그러다 지난 5월 16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 자연과학박물관의 진화생물학자 자카리 로드리게스 연구팀은 녹색 피가 흐르는 도마뱀 7종의 유전자를 분석해, 녹색 피를 결정하는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됐어요.Q.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남북한 의료 교류를 무조건적인 남한의 일방적인 지원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한국에선 유행이 이미 지나간 세균성 질병이지만 아직 그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질병들이 있거든요. 북한의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원인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인식하는 기술도 필요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기술도 필요합니다. 그런데 감정이라는 건 상당히 주관적인 개념인데, 딥러닝으로 학습이 가능할까요. 장 수석연구원은 “보통 우리는 감정이 낭만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최근 뇌과학자들은 감정을 생존이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보상 학습으로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말했다. 최 원장은 “그간 KISTI가 축적해 온 과학기술 정보와 연구 데이터는 1억 건이 넘는다”며 “이런 강점을 누리온과 연결해 산학연과 함께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슈퍼컴퓨터는 국가 전략 장비이자 AI 시대 핵심 인프라인 만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와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암세포마다 특성 달라 암세포를 없애는 건 간단한 일이 아니다. 가장 큰 이유는 같은 곳에 있는 암 덩어리라도 그 안의 암세포들이 유전자와 특성에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이질성(heterogeneity)’이라고 부른다. 이로 인해 항암제를 투여해도 어떤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는 것이지요. 지금까지 찾은 근사 알고리듬 중에 가장 답에 근접한 해를 구해 주는 건 니코스 크리스토피데스가 1976년에 개발한 ‘크리스토피데스 알고리듬’이에요. 2011년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캐나다 맥길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어떤 두 도시 사이를 왕복하는 비용이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