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가진 흑인이었다는 거야. 너와 네 짝도 지금은 서로 다르게 생겼지만 아주 먼 친척인 셈이지. 그럼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❶ 5만 년 전, 빙하기가 시작되자 현생 인류의 조상이 살았던 아프리카는 메마른 사막으로 변했다. 현생 인류는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눠져 먹을 것을 찾아 이동하기 시작했다. 한 ... ...
- 모로코왕궁 침투작전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딸기맛 주스예요. 응? 뭐하세요? 퍼즐인가요? 비밀장소를 찾는 거예요?”“뭐, 그런 셈이지. 같이 할래?”“네! 지도의 비밀을 푸는 건 보물찾기의 가장 중요한 과정이거든요.”4 도형의 결심 무사히 왕궁을 빠져나온 해적들과 도형, 동이 틀 무렵 해안가에 도착한다.“자, 빨리 노를 저어라. 얼른 ... ...
-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조건에 맞는 이성을 만나 그의 마음을 얻고 싶은 것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본능인 셈이다.외모 보는 검은 게 vs. 능력 보는 하얀 게아르헨티나의 소설가 호르헤 보르헤스는 이야기 속 미스터리가 복잡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우주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때로는 프랙탈 이론처럼 ...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낮은 온도에 얼리면 되겠다고 말이에요. 북극곰이 추운 곳에 사는 데에서 힌트를 얻은 셈이죠.그래서 사해에 사는 세균을 데리고 와서 아주 차가운 곳에서 길렀어요. 거의 모든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곳인 사해에서 살 정도면 그 생명력은 정말 대단한 것이거든요. 결국 이 세균의 리보솜 결정을 만들 ... ...
- 붕~, 떠서 달린다! 자기부상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이어 우리가 세계에서 세 번째랍니다. 그 중에서도 여러분은 첫 어린이 승객이 되는 셈이지요. 그럼 직접 타러 가 볼까요? ▲ 2013년 부터 자기부상열차가 다닐 인천국제공항에서 용유역까지의 구간(약 6.1km). ▲(위부터) 독일 엠슬란트에서 시험 운행 중인 자기부상열차. 일본의 나고야, 상하이 ...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발표된다. 노벨상 시상이 처음 시작된 해는 1901년이다. 올해까지 하면 110년째가 되는 셈이다. 이 중 경제학상은 스웨덴 은행 기부금으로 1969년에 신설돼 올해로 42년째다. 그럼 여기서 노벨상이 몇 번 선정됐는지 계산해 보자.1901년부터 시작된 상이 5개니까 5에 110을 곱한 다음, 경제학상의 42를 ...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미치지 못했던 필즈상이 알게 모르게 수학 발전에 기여하는 수학자를 발굴해내고 있었던 셈이다. 괜히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린 게 아니라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올해 노벨상에 일본인 과학자 2명이 포함돼, 자연과학 분야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는 14명이 됐다. 반면 한국인 노벨 과학상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돌아가는 몸통의 힘으로 연월기가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 테니 그야말로 일석이조인 셈이야. 지오야, 네가 큰일을 해냈어.”장도사의 이야기를 듣고 달려온 황산사도 기쁜 마음을 숨기지 못했다. 그래도 가장 기쁜 건 지오 자신이었다.‘이제 나도 연월치인으로서 제 몫을 한 건가?’지오는 ... ...
-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1000원이 되면 같은 상품을 6달러를 줘야 살 수 있겠죠. 외국사람에게는 가격이 비싸지는 셈이 되니까 물건을 사지 않으려고 하겠지요. 그러면 수출이 줄어들고 다시 환율이 높아지게 된답니다.환율을 올리느냐 내리느냐의 문제 때문에 세계는 치열한 싸움을 벌이기도 합니다. 중국의 위안화 절상 ...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수학동아 l2010년 11호
- 1이 나오는 변수 X를 찾아야 합니다. 저는 모두 흑이 되게 했으니까 NX=0이라는 문제를 푼 셈이죠.교수님들은 게임 상황에 대한 모든 경우를 행렬로 나타내고, 동치관계를 이루는 행렬끼리 묶어 A, B, C, D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눴습니다. 동치관계이면 변수 X의 해가 같기 때문이죠. 행렬에서는 서로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