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1년에 2주 휴가가 있어. 공휴일을 2주로 보면 1년 52주에서 4주가 빠진 48주 동안 일하는
셈
이야. 즉 1년동안 어린이를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은 1920시간(=40시간×48주)이지. 1초 동안 한 어린이를 떠올린다면 이 시간에 총 691만 2000명(=1920시간×3600초)을 생각할 수 있지.산타클로스산타클로스는 270년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람은 있다).“많은 한약재는 수천 년 동안 사용됐고 이 과정에서 임상적 증명이 된
셈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마어마한 양을 먹는다면 모를까 통상적인 한약 복용량으로는 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천연물에서 약효물질을 찾는 연구를 하는 서울대 약대 이상국 교수의 말이다. 물론 한약재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근해에 태풍이 접근했을 때 얻는 정보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관측값을 얻는
셈
이다. 바닷물 속으로 직접 관측장비를 내려 수온을 측정하기 때문에 인공위성 값보다 오차가 적다. 천리안 기상위성도 수온을 측정하지만 구름이 있으면 관측이 불가능하고 표층온도만 측정할 수 있다는 한계가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맹점을 이용한 벨의 약삭빠른 아이디어가 그에게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명성을 안겨준
셈
이다.20세기 중반 이후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특허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누가 먼저 특허를 출원했느냐, 어떻게 하면 다른 이의 특허를 조금이라도 피하느냐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허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짝을 이룬다. 결국 1999년에 발견한 두 수용체는 각각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의 일부였던
셈
이다. 추가 연구결과 미뢰의 세포 가운데 약 30%에서 T1R3가 발현되고 그 중에서 일부는 T1R1이, 일부는 T1R2가 발현했다. 예상대로 한 세포에서 T1R1과 T1R2가 동시에 발현하지는 않았다. 단맛과 감칠맛 정보는 별도의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 안에 물질을 담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일종의 빛으로 만든 그릇인
셈
이다. 이 그릇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도 있다. 아직은 작은 나노 입자를 겨우 지탱하는 정도지만, 연구가 진행되면 DNA 조각과 같은 생체 분자를 몸 속 깊은 곳으로 나르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다.변화를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발표된다. 노벨상 시상이 처음 시작된 해는 1901년이다. 올해까지 하면 110년째가 되는
셈
이다. 이 중 경제학상은 스웨덴 은행 기부금으로 1969년에 신설돼 올해로 42년째다. 그럼 여기서 노벨상이 몇 번 선정됐는지 계산해 보자.1901년부터 시작된 상이 5개니까 5에 110을 곱한 다음, 경제학상의 42를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했는데 도통 다음을 모르겠더군요.원숭이 왕 : 소 장군이나 개 장군 중에 범인이 있는
셈
이니, 둘 중 하나를 저울에 올렸던 네 개의 금상 중 하나와 비교해 보면 범인이 밝혀지겠지요. 이러면 범인을 단 2번 만에 잡아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호랑이 왕 : 호오~, 역시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미치지 못했던 필즈상이 알게 모르게 수학 발전에 기여하는 수학자를 발굴해내고 있었던
셈
이다. 괜히 수학의 노벨상으로 불린 게 아니라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올해 노벨상에 일본인 과학자 2명이 포함돼, 자연과학 분야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는 14명이 됐다. 반면 한국인 노벨 과학상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남기고 간 업적과 그 인생을 고스란히 이어받아 묵묵히 살아가는 딸 캐서린이 주인공인
셈
이다.캐서린은 정신분열증으로 고생하다 숨을 거둔 아버지의 못다 한 업적을 완성하는 데 집중한다. 그녀는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재능으로 수학에서 뛰어난 천재성을 발휘한다. 하지만 그녀는 아버지에게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