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분"(으)로 총 2,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2015.02.10
- 교수팀은 중국 난징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지구 내핵이 상부 내핵과 하부 내핵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확인해 ‘네이처 지구과학’ 9일자에 발표했다. 반지름이 약 6400km인 지구에서 껍질에 해당하는 지표는 35km 정도에 불과하다. 지표 밑에는 두꺼운 맨틀이 있고 그 아래엔 외핵과 내핵이 존재한다. ... ...
- 튜링은 어떻게 독일군의 암호를 풀었나2015.02.06
- 가리킨다. 튜링 테스트는 익명의 상대와 대화를 나눈 뒤 상대가 컴퓨터인지 인간인지 구분하는 인공지능 판정 시험이다. 이지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은 “현대 컴퓨터는 튜링 기계를 발전시킨 것”이라며 “슈퍼컴퓨터나 양자컴퓨터도 기본적으로는 튜링 기계의 개념을 쓰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2015.02.02
- 옛날에 보셨다는 표범이 혹시 살쾡이 아니었을까요?” “야, 내가 표범하고 살쾡이도 구분 못하냐?” 작은아버지는 답답하다는 얼굴표정을 지었지만 아무튼 그 뒤로도 필자는 그 얘기를 믿지 못했다. 그런데 2년 전 TV에서 ‘한반도 표범은 살아있다’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이젠 ... ...
- 양자역학 없는 세상2015.02.01
- 전기장 내에서 DNA는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달라지고, 이 성질을 이용해 유전자를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이 친자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DNA 전기영동법의 기본 원리 중 하나다. 양자역학은 이해하기 힘들다. 그 해석에 대한 논란도 여전히 많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양자역학 없이는 살 수 없다. ... ...
- 도시 속을 걸으며 우주를 공부한다2015.02.01
- 설계·시공사례를 담고 있다. 설계사례 125채, 시공사례 75채다. 도면과 함께 평형대별로 구분되어 있어 전원주택을 지으려는 사람들의 참고자료로 손색없다. 저자는 현재 건설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원주택 시공분야에서 활약한 경험을 한 권의 책으로 모았다. 주택 건설과정에 필요한 ... ...
-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과학동아 l2015.01.30
- 단맛 같은 너 앞서 말했듯 단맛의 천적은 쓴맛이다. 그런데 외외로 단맛과 쓴맛 물질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하게 생겼다. 심지어 같은 물질이 단맛과 쓴맛을 오가는 경우도 많다. 설탕보다 1000배 더 달다는 사카린이 대표적이다. 사카린은 자신의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할로겐 원소에 따라 ... ...
- 한국 소프트웨어 개발능력 국제인증 얻었다2015.01.27
- 10개 프로세스에 대해 레벨 3 인증을 획득했다. 스파이스 레벨은 0부터 5까지 6단계로 구분하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획득, 유지보수를 위한 조직의 공정 및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이드 제공과 심사 목적으로 제공한다. 보통 레벨 3을 넘어서면 프로세스가 완전히 정립된 우수한 ...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2015.01.26
- 이용하고 버리는 모습에 괜히 필자가 배신감에 몸서리를 쳤다. 행동까지 진짜 사람과 구분이 안 되는 안드로이드라는 설정은 ‘헬렌 올로이’가 발표된 1938년은 물론이고 77년이 지나 ‘엑스 마키나’가 개봉된 2015년 현재도 여전히 현실성이 없는 공상의 영역이지만 다른 측면에서 나름대로 ... ...
- 뜨개질 도와주는 수학2015.01.21
- 모든 정사각형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 직사각형을 이루는 각각의 정사각형을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이웃한 정사각형끼리는 서로 다른 색깔을 쓴다. - 사용하는 색깔의 수는 최소가 되도록 한다 ...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2015.01.19
- 1이고 오경보확률이 0이기 때문이다. 수신자조작특성곡선은 신호와 잡음을 구분하는 기준(역치)을 정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x축은 오경보확률, y축은 적중확률로 수신자가 완벽할 경우는 왼쪽 상단의 점(0, 1)으로 수렴하고 임의로 판단, 즉 찍을 경우 점선(y=x)을 그린다. 대부분의 곡선은 그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