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뉴스
"
구분
"(으)로 총 2,446건 검색되었습니다.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커피를 좋아한다. 좋아하는 것인지 마감을 맞추기 위해 커피를 ‘흡입’하는 것인지는
구분
이 잘 안되지만, 특정 프랜차이즈의 커피 맛은 싫어하고 새콤하고 과일맛 나는 커피를 좋아하는 걸 보면 적어도 커피를 싫어하지는 않는 것 같다. 그러던 중 커피의 향을 과학적으로 접근한 책에 눈길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관측하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뉴욕에서 로스엔젤레스에 있는 25센트 동전의 두께까지
구분
할 수 있는 정밀도를 자랑한다. 연구팀이 이 시스템으로 1년 반 동안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관찰한 결과 지구가 공전하면서 생기는 차이까지 고려해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 정확한 거리가 443광년이라는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있는 반면, 정자로 유전정보만 주고 끝나는 부계로는 후성유전학적 요인을 명쾌하게
구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이처’ 3월 6일자에는 ‘아버지의 죄(The Sins of the Father)’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는데, 바로 부계를 통해 유전되는 후성유전학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예를 ... ...
“교육과정 개정안은 이과 폐지안”
2014.08.25
‘문·이과 통합’을 내세워 교육과정을 전면개정하려고 하지만 정작 문·이과
구분
은 1997년 고시된 7차 교육과정 개정에서 없어졌다”며 “2009년에 시작한 개정 교육개정이 교육 현장에 채 정착되기도 전에 또 다시 개정을 거론하고 있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단체장 대표단은 관련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사카린을 배합한 사료를 준비했다. 각각은 서로 다른 향(포도와 바나나)이 나 쥐가
구분
할 수 있다. 처음에는 두 사료에 대한 선호도 차이가 없었지만 며칠이 지나자 쥐들은 설탕이 들어있는 사료를 선호했다(20알 대 7.5알). 측좌핵의 도파민 수치를 측정한 결과 역시 설탕이 들어있는 사료를 먹었을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코드가 있어 서로 혼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연구진은 적외선 감지기 각각에 전용 신호만
구분
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를 달아 혼선을 막았다. 배 교수는 “의식 불명 환자의 뇌 기능을 검사하거나 수술 전 마취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등 의료용으로 각광받을 것”이라며 “야구 모자처럼 더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두 시간 넘게 두들겨 부쉈다, 왜?
과학동아
l
2014.08.03
- CJ E&M 제공 ●과학은 포기해야 마음 편하다 영화 트랜스포머를 SF(과학픽션)로
구분
하는 건 다소 위험하다. 애초에 과학적으로 말이 안되는 장면이 많기 때문이다. SF라는 이름을 붙이려면 이론적으로 오류를 찾기 어려울 만큼 과학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이 기준을 놓고 보면 ... ...
스마트폰에 이어폰만 꽂으면 스피커 22개 음질이
과학동아
l
2014.07.28
현장감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TV 효과음을 22개 채널로
구분
해 들려주는 ‘멀티스피커’ 구현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스마트폰과 TV를 무선으로 연결한 후, 이어폰을 귀에 꽂으면 현장감 있는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스피커 장치 ... ...
“과학자 위한 출연연에서 국민 위한 출연연 만들 것”
과학동아
l
2014.07.16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출범식 현장. 이상천 초대 이사장이 참석 하객들에게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정부 출연연 ... 것이 우리의 임무”라며 “앞으로 대세가 될 융합 연구 과정에선 기초와 산업의
구분
이 모호한 것이 많다는 점도 이해해야 한다”고 밝혔다. ... ...
1세 아기들 뇌 직접 찍어보니…
과학동아
l
2014.07.15
아기의 뇌 속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활성화 된 뇌 부위는 말소리를
구분
할 수 있는 ‘상측두회(superior temporal gyrus)’와 말하기에 필요한 근육을 움직이는 ‘브로카 영역(Broca's area)’이었다. 연구팀은 ‘아기식 언어’가 따로 존재한다는 사실도 새로 발견했다. 아기는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