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분"(으)로 총 2,3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성 고리에서 달이 탄생한다?동아사이언스 l2014.01.02
- 이 중 B고리가 가장 밝다. - NASA 제공 토성 고리는 크게 A, B, C, D, E, F, G고리의 7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주요 고리는 3개인데, 바깥쪽에서부터 A, B, C고리라 불리며 밝기는 B, A, C고리 순이다. B고리와 A고리는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분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나머지 D, E, F, G고리는 탐사선의 관측을 ... ...
- 3만 2000대 컴퓨터 동시 피해입힌 사상 최악의 해킹동아사이언스 l2013.12.30
- 중요기관의 컴퓨터를 한꺼번에 공격하는 형태인 ‘APT(지능형 지속 위협)’ 방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해커는 이번 범행을 위해 이미 오래전부터 악성코드를 심어 두고 ‘기다리고’ 있었다는 말이다. 정부는 당시 ‘해킹’사건의 배후를 북한으로 주목했다. 테러에 사용한 인터넷프로토콜(IP ... ...
- 진실을 가장한 거짓 '시모니니' 여전히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12.22
- 때문이다. 굳이 국정원 댓글 사건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여전히 ‘네 편’과 ‘내 편’을 구분 지으려는 자들이 끊임없는 암투를 벌이고 있고, 우매한(권력자의 관점에서) 대중은 여기에 놀아나고 있다. 동아일보DB 제공 믿고 싶은 대로 믿어버리는 자와 소위 ‘카더라’ 통신에 열광하는 사회를 ... ...
- "과학대중화 위해서라면 노벨상 없는 게 나아"동아사이언스 l2013.12.22
- 상이 정말 많다. 그런데 대중들에게는 오로지 노벨상을 받은 자와 받지 못한 자로만 구분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과학사와 과학철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2006년 '과학철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러커토시 상'을 수상한 장 교수는 "노벨상을 받는 순간 수상자만 집중 ... ...
- 트럭보다 크던 질량분석기, 휴대전화 크기로 줄었네동아사이언스 l2013.12.20
- 것을 발견했을 때 자연 방사선인지, 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온 인공 방사성 물질인지를 구분해 내기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 바로 질량분석. 대부분의 질량분석기는 크기가 1t 트럭보다 크고, 복잡한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없다. 분석할 물질이나 기체를 밀봉해 질량분석기가 있는 ... ...
- 사람이 돼지나 멸치하고 같은 수준?동아사이언스 l2013.12.10
- 초식동물을 2단계, 여우 같은 육식동물을 3단계, 호랑이 같은 최상위 포식자를 5.5단계로 구분한다. 최근 프랑스 연구진이 인간의 영양단계가 2.21로 초식동물에 가깝다는 사실을 밝혀 주목받고 있다. 프랑스 해양개발연구소 실뱅 보노무 박사팀은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를 이용해 ... ...
- 뒤집어 끼워도 작동하는 USB 나온다동아일보 l2013.12.06
- 쓰이고 있다. 새로운 USB C형 단자는 애플사의 ‘라이트닝 케이블’처럼 위아래 방향 구분 없이 플러그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단자는 최신 스마트폰에 많이 쓰이는 마이크로B형 단자와 비슷한 작은 크기이면서도 데이터 전송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IT매체 아스테크니카는 “C형 ... ...
- 도시 한가운데로 우주가 찾아왔다과학동아 l2013.12.03
- 시험삼아 촬영해 봤는데, 색깔이 제대로 나오더군요. 유명한 성단도 별을 구분할 정도로 잘 나왔습니다. 앞으로 천문대를 어떻게 운영하실 생각인가요? 일단 특별 이벤트를 많이 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천문학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장기프로그램도 병행해서 진행할 ... ...
- 줄기세포 키우면 신약 개발 속도 빨라진다동아사이언스 l2013.11.29
- 난치병 환자를 위한 치료제 개발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구분 분리조직 생성 방식 만능성 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배반포기 배아에서 확립 체세포 핵 이식을 통해 확립 체세포를 역으로 분화하여 확립 (유도만능줄기세포 iPS) 다능성 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 ...
- 한국형 독자 뇌DB 만들면 치매발병 5년전 대처 가능동아사이언스 l2013.11.15
- 만큼 치매 예측 뇌지도가 없으면 뇌 수축의 원인이 정상적인 것인지 치매 때문인지를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알츠하이머의 진행에 따라 뇌의 각 부분에서 위축 현상이 나타난다 - 조선대 의과대 치매융합연구소 제공 치매 조기 진단 사업은 대표적인 융합연구 분야로 실제로 뇌 연구자와 혈액,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