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뭔가 그럴듯해 보입니다. 이 정도에서만 멈췄어도 그러려니 했을 겁니다. 그런데
결정
적으로 한 발 더 나가더군요. 황토냐, 맥반석이냐, 게르마늄이냐에 따라 효능이 다르다는 겁니다. 게르마늄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황토는 소화에 좋고, 자수정은 관절염이나 근육통에 좋고, 대충 이런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난이도 높은 공부를 하는 스타일이면 자연계열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것이 쉽게
결정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2006년에는 독일 막스플랑크의 생물학자들과 수학자들의 공동연구에서 쥐의 털 색깔을
결정
하는 화학물질이 발견되었다. 이 화학물질에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적용해 털 색깔을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생명현상에 대한 수학적인 통찰과 접근이 확대된 오늘날, 수리생물학은 이제 현대수학의 한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여러 개의 뫼비우스 띠로 구성돼 있다.사실 뫼비우스 띠는 띠를 몇 번 꼬았느냐에 따라
결정
된다. 띠를 홀수 번 꼬면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뫼비우스 띠가 되지만, 짝수 번 꼬면 안과 밖의 구별이 있어 뫼비우스 띠가 아니다. 몇 번 꼬았는지에 따라 중앙선을 이등분했을 때의 띠 모양도 다르다. 꼰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과거에 학습한 정보까지 더해서 머릿속으로 신속하게 병렬 처리해 상황 판단과 의사
결정
을 내릴 수 있다.과학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하지만 사람 조종사를 완벽히 대체할 만한 컴퓨터와 자동조종 시스템은 아직까지 없다. 이런 점에선 공중전을 위한 무인전투기 설계가 비효율적이다. 더구나 ... ...
부도리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갑자기 ‘산무토리’ 화산이 폭발하면서 도시가 위험해진다. 부도리의 상사 펜넨나무의
결정
은?부도리 키워드 ➍ 온실효과대기 속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 기온이 올라가는 ‘온실효과’가 발생한다. 일종의 대기오염이지만 또 한 번 닥친 냉해 앞에서는 오히려 득이 될 수 있다.이 사실을 깨달은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에헴! 최종 판결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확률과 통계는 이처럼 일상생활의 사소한
결정
뿐 아니라 중요한 재판의 판결까지 좌우하는 근거로 쓰이곤 한답니다. 마치 양 날의 검처럼 제대로 사용하면 유익하지만, 잘못 활용하면 위험하지요. 오늘 오류를 저지른 분들은 모두 이번호 수학동아 확률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최초로 과학에 응용했다. 그는 ‘개들의 공격적인 행동이 분노와 공포라는 요인에 의해
결정
된다’고 가정하고 카타스트로프 이론을 적용해 연구했다. 그는 분노하고 있는 개가 공포에 질리면 공격을 멈추고 도망가 버리는 시점을 분석했다. 반대로 공포에 질린 개가 분노하기 시작해 결국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아니라 고기압도 눈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바다 덕분이다. 바다는 눈을 만드는
결정
적인 역할을 한다. 물은 비열이 높기 때문에 겨울에도 공기에 비해 쉽게 차가워지지 않아 찬 공기를 만나면 수증기를 내보낸다. 중국·러시아 대륙쪽에서 불어온 차가운 공기(고기압)가 비교적 따뜻한 바다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규칙으로 만들어 칩 속에 담았다. 이를 통해 비행체는 스스로 어떤 게 장애물인지
결정
하고 가능한 최단거리 경로로 갈 수 있는 길을 계산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비행체는 53회의 비행 실험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2번 추락한 것을 제외하고 장애물 회피 비행을 51회 성공했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