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술 부리는 행성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탐사한 대표 탐사선의 모양으로 만들어재미를 더했다.행성을 공중에 띄워보자. 전원을 연결한 뒤 행성본을 적당한 위치에 놓으면 된다. 중력과 자력이 만나는 지점에는 마치 힘이 사라진 듯한 느낌이 든다. 이때 살며시 놓으면 신기하게 행성이 공중에 뜬다. 살짝 돌리면 수 분 동안 빙글빙글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폴과 폴리스가 자신을 찾는 소리가 들렸지만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여긴…, 병실과 연결된 비밀 공간?”하루는 어둠에 익숙해지자 피타와 함께 비밀 공간을 둘러보기로 했다. 그러다 발견한 좁은 통로에는 작은 칩이 떨어져 있었다. 피타가 시공간 사전에 칩을 끼우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기억과 학습을 거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서도 변한다. 뇌는 끊임없이 뇌세포를 새롭게 연결하며 이 과정에서 특정한 유전자가 사용된다. 전사체지도가 뇌지도 작성에 특히 유용한 이유다.‘앨런 브레인 인간뇌전사체지도’는 24세와 39세의 미국 흑인 남성의 뇌를 이용해 만들었다. 먼저 뇌 전체의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칸의 크기는 설국열차와 비슷하다. 1칸 안의 객석 수는 일반석 기준 50~60석으로 100칸을 연결하면 5000석이 된다. 앞서 가정했던 설국열차의 승객 5000명이 모두 편안히 앉을 수 있는 만큼 기뻐해야할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식량을 생산하거나 동물을 기르는 공간 등을 생각하지 않고 승객들이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계곡과는 달리 매우 협소하고 짧다. 상부 계곡과 하부 계곡으로 나뉘어 있으나, 서로 연결돼 있지는 않다. 필자가 다녀온 상부 계곡은 폭이 1~2m에 불과했고, 전체 계곡도 보통 걸음으로 10여 분이면 끝까지 갈 정도로 짧았다. 동굴이 아닌 계곡이라 천장이 막혀 있지는 않았지만, 폭이 좁고 바위들이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생겼다. 하지만 양쪽 나무팔은 각각 일곱 가지 각도로 움직이게 했고, 팔과 기둥을 연결하는 나무막대도 네 가지 각도로 움직일 수 있게 한 점이 다르다. 즉, 나무팔이 만들 수 있는 모양의 종류가 7×7×4=196가지나 되는 것이다.샤프 형제는 나무팔이 만드는 각각의 모양에 알파벳 철자와 숫자를 ...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80° 꼬아서 끝을 붙여서 만들었잖아. 경계가 하나밖에 없는 2차원 도형! 앞과 뒷면이 서로 연결돼 있으니, 아무리 걸어도 이 길은 영원히 끝나지 않아.”폴의 말에 메비우스 공작이 박수를 치며 말했다.“바보인 줄 알았더니 생각보다 머리가 좀 돌아가는군요. 하지만 이곳이 뫼비우스의 공간이란 ... ...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많아지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빨라진다. SK텔레콤은 서로 떨어져 있는 10MHz 대역폭 2개를 연결했다. SK텔레콤은 “2015년경 20MHz 대역 두 개를 묶어 지금의 2배인 300Mbps까지 통신 속도를 끌어올릴 것”이라 밝혔다. 2016년에는 데이터 업로드 속도를 끌어올릴 ‘업링크 주파수 결합기술’도 도입할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이다. 그런데 네발 동물이 발 하나를 들었을 때, 남아 있는 발 세 개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해 보자. 삼각형을 그릴 수는 있지만,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정삼각형 형태는 아니다. 그러니 들어 올린 발쪽으로 몸무게가 쏠려 넘어지기 마련이다. 넘어지지 않으려면 남아 있는 다리 세 개의 힘,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모든 소수로 이루어진 식으로 바꿀 수 있다. 즉 제타함수는 모든 정수와 모든 소수를 연결하는 불가사의한 식인 셈이다. 그런데 리만가설이 참이라면 제타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함숫값이 0인 점들이 모두 일직선에 나타나게 된다. 이건 불규칙하게 등장하는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것을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