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노베이션 엑설런스 어워드’를 KISTI에 수여했다. 기존 수상자인 페이스북과 미국항공
우주
국(NASA) 같은 첨단기업 및 연구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김호윤 M&S 기술지원팀장(선임 연구원)은 “향후 중소기업에 대한 M&S 지원뿐만 아니라 M&S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도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사고에만 기초해 성공적으로 이뤄진 다른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복잡한
우주
를 궁극적으로 간결하고 우아한 법칙으로 해석하는 인간 정신의 놀라운 능력을 실컷 향유해보자 ... ...
INTRO. MARS 2025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 것은 한 인간에게는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1969년 인류는 달에 도착함으로써 첫 번째 도약에 성공했다. 그리고 50년 가까 ...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
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
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Part 2.
우주
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화성으로 진출한
우주
인들은 적어도 한 달 정도는 화성에 머무르며 탐사를 할 예정이다. 화성 표면에 오랜 시간 있을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의외 ... 하게끔 설계됐다. 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
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
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모른다.‘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의 저자가 주장하는 과학기술은 마치
우주
에 속한 지구 같다. 정통파 과학사회학자로 불리는 홍성욱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10년간 고민한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풀어냈다. 그는 과학기술을 네트워크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난 여름 서호주의 관문도시 퍼스에 위치한 호주연방과학원에 70명의 과학자가 모였다. 각국에서 내로라하는 과학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건 미 ...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
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
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우주
는 굽어 있다. 그것을 깨닫는 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조 개가 넘는 은하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콘셀라이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우주
의 구조가 어떻게 형성돼 왔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논문 등록 웹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10월 11일 게재됐으며,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될 예정이다 ... ...
[News & Issue]
우주
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모든 과학 분야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대단히 보람 있는 삶이다. 비록
우주
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는 없을지라도, 발견의 여정은 정말 매력적이다. 끊임없이 새로운 통찰과, 우리의 삶을 개선하는 혁신을 얻는다. 만약 여러분이 (입자물리학이 아니라도) 과학자가 된다면, 무언가 새로운 ... ...
[Interview]
우주
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
우주
생물학을 공부하고 문명에 대한 책을 쓰는 등, 인생의 큰 선택을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건 내 안의 호기심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과연 인류의 과학문명에 또 어떤 질문을 던질까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