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태양광 무인기, 성층권 나는 데 성공!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자체 개발한 태양광 무인기가 지상으로부터 18.5km 높은 성층권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8월 25일 밝혔다. 성층권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권 중 고도가 18km 이상인 곳으로, 온도가 영하 70℃로 전자장비에 가혹한 환경이다. 하지만 공기 밀도가 지상의 9%에 ... ...
- [과학뉴스] 천문연, 한국우주전파관측망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분자구름 속에서 진행되기 때문이다. 8월 31일,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단일 망원경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이 방출하는 일산화규소 메이저를 관측했다고 밝혔다. 메이저는 레이저와 파장영역이 다른 전파로 대개 물과 일산화규소가 방출한다. 특히 일산화규소 ... ...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67P)’에 착륙했던 탐사로봇 ‘필레’의 마지막 모습이 모선인 로제타호에 포착됐다. 유럽우주국(ESA)은 햇빛이 잘 들지 않는 음지에 박혀 있는 필레를 찍은 사진을 9월 5일 공개했다.로제타호는 2004년에 발사된 뒤 10년 동안 비행한 끝에 2014년 11월, 67P 혜성에 도착해 탐사로봇인 필레를 착륙시켰다.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장면에 어찌나 큰 충격을 받았는지, 필자는 당시 일기장에 멋졌던 광선검 전투장면이나 우주선 이야기가 아니라, 이 팔 이야기를 가득 썼다. Human Hand 인간의 손은 일상에서 매우 다양한 행위를 한다. 손은 29개의 뼈와 29개의 관절, 34개의 근육, 123개의 인대로 구성돼 있다(흥미롭게도, 개인마다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되지는 않을겁니다. 방법 자체도 복잡하거니와 사람 수가 5명만 되도 칼질해야 하는 수가 우주의 원자 수보다도 많아져 케이크 부스러기가 원자 하나보다 작아질 수 있겠지요. 하지만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 이 방법을 토대로 공평하게 나누는 방법에 관한 연구에 큰 진전이 있지 ...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중 질소 분자와 산소 원자는 빨간색을 낸다. 사진은 권순길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우주활동부장이 다섯 시간 동안 촬영해 한 장 으로 합성한 것이다.아쉽게도 이번 별똥별 쇼는 도심에서는 잘 관측되지 않았다. 심각한 빛 공해 때문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자연 상태의 밤하늘보다 10% 이상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하는 특별한 실험도 일부 있다. 역사 속 30가지 발견의 순간을 재현하면서 가늠할 수 없는 우주의 신비를 확인하는 즐거움은 남녀노소 모든 이를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도시를 위협하는 적과의 전투를 즐기는 거예요. 롤러코스터의 움직임 때문에 우주 공간에 실제로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답니다.촉각, 후각, 미각 같은 다른 감각을 이용하기도 해요. 4월 중순 일본에서 문을 연 가상현실 게임센터는 고층 건물 난간에 매달린 고양이를 구하는 게임에 동물 ... ...
- [과학뉴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작은 먼지가 조금씩 쌓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추리의 경우는 후자였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탐사선 로제타가 보내온 추리의 토양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밀도가 낮고 멍과 층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단단한 암석에서 떨어져 나온 게 아니라는 강력한 증거다.구팀은 추리가 온도가 아주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중앙처리장치(CPU)만 16개, 그래픽처리장치(GPU)는 768개나 됐다. 이 컴퓨터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처음 개발한 ‘베오울프형’ 슈퍼컴퓨터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리눅스 기반 슈퍼컴퓨터의 시초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클러스터로 묶어 작동한다. 이승민 KISTI 선임연구원은 “슈퍼컴퓨터가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