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십이이십면체와 세팍타크로 공 품은, 지오데식 돔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공간도형 중에서 가장 작은 표면적으로 큰 부피를 이룰 수 있는 도형이 구다. 하지만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는 말처럼, 자연에서 원과 구처럼 둥근 모양은 크게 효율적이지 않다. 벌집의 모양이 원이 아닌 육각형 모양인 것도 원에 최대한 가까우면서 효과적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가들은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전파 대역에서 동일한 분해능을 얻으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광학망원경에 비해 수천 배 이상 커야 한다. 그렇다면 블랙홀을 굳이 전파 대역에서 관측할 필요가 있을까?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빛의 파동성을 활용한 간섭계 기술로 지구만한 크기의 가상 망원경을 만드는 일이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심승택이 보관했던 11권을 이용해 1986년 영인본을 제작했다는 점을 미뤄볼 때 최소 11권 이상은 발간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명학회는 1924년 10월 김용관을 필두로 설립됐지만,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8년 뒤인 1932년이었다. 과학조선 발간 이후 발명학회는 세를 확장해 과학지식보급회로 ... ...
- [과학뉴스] 체온 따라 열 조절하는 섬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파장대다.실제 실험 결과, 연구팀은 이 섬유가 몸의 상대습도에 따라 적외선을 35% 이상 효과적으로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민 교수는 “그동안 우리 몸에서 열을 조절하는 유일한 방법은 옷을 더 입거나 벗는 것 뿐이었다”며 “이 섬유는 환경에 따라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진정한 기능성 ...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약 15km의 속도로 이동했는데, 1990년대 중반부터 속도가 점점 빨라지더니 최근에는 3배 이상 빨리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아르노 출리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연구원은 2019년 1월 9일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예상보다 속도가 빨라져 기존 모델과 현재 지구 자기장 사이의 오차가 시간이 갈수록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열심히 훈련을 받아서 우주비행을 하고 싶을 거야. 그러나 우리가 사는 세상은 생각만큼 이상적이지 않아. 아직도 우주 분야에는 남자들이 훨씬 많고, 여성이라는 이유로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래서 네가 비행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야. 혹시라도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친구와 무척 친해졌다. 서로 실험 보고서를 쓸 때도 도움을 많이 주고받았고, 수업을 더 이상 같이 듣지 않지만 가끔은 만나서 저녁도 같이 먹는다.국제화학올림피아드 출신인 나는 교수님과 상의해 일반화학과 유기화학 한 학기를 뛰어넘고 수업을 들었다. 또, 고등학교 때 봐둔 AP 시험(고등학생 때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대중서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를 집필했고, 이 책은 세계적으로 1000만 부 이상이 팔리며 과학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그는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열정과 열의를 공유하고자 했다. 이번 유작에서 호킹은 우주의 본질을 넘어 세상 사람들이 갖는 궁극적인 질문들에 대해 짤막하지만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청띠신선나비’ ‘번개오색나비’ 등 현재 순우리말 나비 이름의 70% 이상이 석주명의 손에서 탄생했다. 문 부소장은 “당시 조선 학계에서는 그동안 빼앗겼던 우리 이름을 되찾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했다”며 “석주명이 그동안의 연구를 토대로 빠르게 기틀을 잡아준 덕분에, 우리 나비에게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급속 해동법을 이용한다. 유리화동결법이 도입된 이후 냉동 난자의 생존율은 40%에서 95% 이상으로 크게 올랐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에서 유리화동결법으로 냉동한 난자와 신선 난자를 비교했을 때 수정률, 임신율, 분만율은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