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뉴스
"
모델
"(으)로 총 5,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2.13
퀸슬랜드대 지구 및 환경과학과 연구원팀은 기후변화를 예상할 때 사용하는 ‘일반순환
모델
(GCM)’을 이용해 심해 수온의 변화를 예상했다. 그 결과 당장 육상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이 감소하더라도 심해 수온은 2050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doi: 10.1038/s41558-020-0773-5 심해와 ... ...
4개 다리·바퀴로 이동하는 변신로봇…현대차그룹 '타이거' 공개
연합뉴스
l
2021.02.10
와 유사한 모듈형 플랫폼 구조를 갖췄다. 이번에 공개된 타이거의 첫 콘셉트
모델
은 'X-1'으로, 여기서 'X'는 실험용을 의미한다. 타이거와 엘리베이트 모두 사륜 자동차에서 4개의 다리가 달린 4족 보행 로봇으로 변신할 수 있고 복잡한 지형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 ...
드론으로 북극 해빙 고해상 촬영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때보다 3배 이상 높아졌다. 김재인 극지연 연수연구원은 “북극 해빙의 수치표고
모델
정보가 실제 값에 더 가까워졌다”며 “기후변화의 원인 분석과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ISPRS 사진측량원격탐사지’ 2월호에 게재됐다. ... ...
[과학게시판] DGIST-대한상의, AI 기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09
생육정보의 자동계측과 환경·농작업·경영정보 등과의 통합 분석, 지능형 의사결정
모델
개발, 온실 그린에너지 이용기술 개발 등 총 22개 과제를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농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교육방송공사는 오는 1 ... ...
3월 차세대중형위성 1호·10월 '누리호' 첫 발사…올 우주개발계획에 총 6150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이를 발사한다. 이를 위해 상반기에는 75t 엔진 4기를 묶은 형태인 1단부 인증
모델
의 연소시험을 실시한다. 이밖에도 누리호 발사용 발사대 구축을 완료하고 발사장의 추적검검시스템 점검을 위한 모의 훈련도 수행한다. 위성 분야에서는 올해 3월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발사하고 정지궤도 ... ...
3월부터 전국 초등학교에 깔리는 'AI 펭톡' 20년간 AI 연구 한우물 '빛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5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은 “수집한 언어 데이터는 GPT-3의 수십 분의 1 규모지만
모델
을 최적화해 활용하며 학습을 통해 점차 데이터를 늘리는 자율 성장 방식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명준 ETRI 원장은 “언어 AI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온 결과 ETRI에만 AI 분야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논문을 ... ...
5일 뒤 날씨까지 1시간 단위로 제공된다… 지진경보 5초로 더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4
“기존에는 단일 분석을 통해 조기경보를 수행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3가지
모델
다중분석을 통해 오차를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민에게 24시간 지진발생 상황을 설명하는 유튜브 채널도 지난달부터 운영중이다. 새로운 지진관측망 구축전략에 따라 지진 집중감시구역과 ... ...
[KAIST서밋]"코로나19 끝나도 대학은 예전 모습 아닐 것"
2021.02.03
성과를 쌓은 교수 10명과 기업가치 10조원에 이르는 KAIST 출신 벤처 10곳, 해외에 KAIST를
모델
로 하는 과학기술중심대 10곳을 배출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4명의 총장 강연이 끝난 뒤에는 온라인을 통해 질의 응답하는 시간도 이어졌다. 라이프 총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 ... ...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기법을 더해 분해능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한다. 인공지능(AI)의 하나인 기계학습
모델
을 도입해 원자의 구조 정보 분석의 정확도를 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 “투과전자현미경이 보증하는 분해능 수준이 50 피코미터(pm·1pm는 1조분의 1m)라면 소프트웨어 기법으로 10 피코미터까지 ... ...
“3월 1일까지 미국민 50% 백신 맞으면 사망자 12만5000명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1
교수는 보고서에서 “이번 예측은 컴퓨터
모델
에만 의존한 결과가 아니라 컴퓨터
모델
링 결과에 감염병 전문가와 예측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코로나19 확산을 더욱 정확히 예측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