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학문의 대를 잇는다...'KAIST 초세대 협업연구실' 2곳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김정호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고 안승영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 김경민 신소재
공학
과 교수가 후배 교수로 참여하는 ‘KAIST 시스템반도체 패키징 연구실’ 두 곳이다. 유기반응 및 합성연구실은 유기 반응 및 합성 연구 분야에서 세 가지 중심 주제 꼽히는 합성 방법론 개발, 반응 메커니즘의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왼쪽부터 이번 연구 논문의 1저자인 오세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박사과정생, 김태돈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 ... 밝혔다. 새롭게 발견된 면역관문 'NgR1'이 NK세포의 살상력을 억제하는 기전의 모식도.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제공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고등과학원 교수, 전영욱 캘리포니아주립대(UCSF) 교수가 공동으로 나노기술과 세포
공학
기술을 이용해 조직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치(Notch) 수용체 신호 활성화 과정과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 ...
[과학게시판] 생명연, 감염병 대응 전문인력 양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신·변종 감염병 대응 전문인력 양성과정 포스터. 생명연 제공 ■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신·변종 감염병 대응 전문인력 양성과정에 참여할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16일까지 연구원 홈페이지(www.kribb.re.kr)를 통해 접수한다. 이번 교육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국내 백신 개발과 신·변종 ... ...
전기차 주행거리 1.5배 늘릴 리튬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약 1.5배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엄광섭 신소재
공학
부 교수팀이 고용량 바나듐 산화물을 리튬 배터리 양극재로 사용해 에너지 저장 용량을 기존 대비 약 50% 높인 고성능 리튬 금속 배터리를 구현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1월 4일자에 ... ...
해양바이오 소재로 활용 가능한 와편모조류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현재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독소 생산 가능성과 유용성 평가는 이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박사 연구팀과 진행 중”이라며 “앞으로도 ‘K-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웅서 KIOST 원장은 “우리나라의 고유지명을 전 세계에 알리고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 ...
美, 꿀벌 백신 최초 승인..."꿀벌은 인류 식량안보 첨병"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켜진 데 따른 조치다. 5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미 연방 농무부(USDA)는 미국 생명
공학
기업 ‘다날 애니멀 헬스’가 개발한 꿀벌용 백신의 조건부 사용을 승인했다. 이 백신은 세균성 꿀벌 전염병인 ‘미국형부저병’을 예방한다. 꿀벌 유충들이 부저병에 감염되면 벌집이 약화되고 ... ...
포유류 발모 관련 유전자 확인…"탈모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발견한 성과가 당장 치료법에 응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내다봤다. 권병목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질환과 관련한 유전자가 발견되고 이를 응용한 치료제들은 이전에도 많았지만 사람들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실패한 사례가 많다"며 "치료법의 단서가 등장해도 실제 생활에 ... ...
"파리협정 충실히 지켜도 2100년까지 빙하 절반 녹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비관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데이비드 라운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도시 및 환경
공학
과 교수팀은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파리협정 시나리오에서도 2100년까지 빙하의 49%가 사라진다는 결론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월 5일(현지시간)자에 ... ...
중학생이 설계한 '종이접기 형 달 탐사 기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만나 구체화되는 것을 지켜보는 즐거운 6개월이었다”고 말했다. 이대영 KAIST 항공우주
공학
과 교수는 "아이들이 실제 연구자들처럼 스스로가 문제를 만들고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다른 어느 교육 프로그램도 시도하지 못했던 과감한 도전이었다"고 말했다. 1기 학생들은 7일 수료식에서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