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모사하는 척수 오가노이드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명의학
공학
’에 게재했다. 플라스틱 위에 세포를 배양해 인체 조직이나 장기를 모방한 ‘장기칩’ 연구도 활발하다. 동물을 대신해 생명 현상을 연구하고 신약 후보물질을 실험할 수 있다. 도날드 잉버 미국 하버드 ... ...
건강한 삶 위협하는 '빛공해' 영향 연구 본격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등이 있다. 국내 국립공원 역시 빛공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성찬용 한밭대 도시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4월 국제학술지 ‘자연보존저널’에 "국내 22개 국립공원에 빛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며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선 국립공원 주변 조명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UNIST, 왜곡된 영상 선명하게 복원하는 방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일그러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복원한 모습. UNIST 제공 ■ 박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왜곡된 영상에 숨어 있는 정보를 이용해 선명하게 영 ... 출범해 1988년 한국생물
공학
회로 명칭을 변경한 생물
공학
회는 우리나라 최대 생물
공학
관련 학회다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대는 김호영 기계
공학
부 교수가 주도한 공동 연구팀이 버섯의 성장을 모사하는 인공 물질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3일 게재됐다. 많은 생물들은 성장하면서 외부의 자극을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반도체 소재 고성능화 이뤄낸 김윤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성균관대학교 신소재
공학
부 김윤석 교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을 수여하는 시상이다. ... ...
"고리 2호기 안정성 입증돼...면허 갱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연장한다는 개념이 아니고 면허 갱신을 하자는 것이다.” 정용훈 KAIST 원자력및양자
공학
과 교수는 29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열린 ‘고리2호기 계속 운전 종합토론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정 교수는 “고리2호기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대비 매달 1000억원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사진에서 3차원 정보 추론하는 AI 반도체 IP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차원 공간정보 및 물체인식 시스템 시연 모습. KAIST 제공 ■ KAIST는 유회준 전기및전자
공학
부 교수가 이끄는 PIM 반도체 설계 연구센터(AI-PIM)가 학계에서 인정한 5종의 최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지식재산권(IP)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KAIST는 심층신경망 추론 기술 및 센서로부터 얻은 ... ...
붙이기만 하면 손동작으로 글자 입력...'지능형 전자피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지능형 전자피부 모식도. KAIST 제공 피부에 붙여 동작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지능형 전자피부가 개발됐다. 손에 부착한 뒤 손동작 ... 편의성을 증대시켜 향후 메타버스를 비롯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원격의료, 로봇
공학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누리호·다누리 성공·허준이 필즈상' 과총 올해 10대 과학기술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거친 뒤, 배양해 다시 환자의 몸속에 집어넣는 맞춤형 치료법이다. 김범준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이승우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엘라스토머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세계 최고성능의 전고체전지를 구현했다. 전고체 리튬메탈전지는 ... ...
[우주탐사 시대 활짝] 우주궤도 설계·관제·심우주 통신...'다누리' 기술력 증명
2022.12.28
어려운 미션을 성공해낸 대단한 성과”라고 말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
공학
부 교수 역시 "처음 하는 일을 오차 없이 성공해냈다"며 "현재 달 궤도선이 여러개 운영 중인데 한국도 이 대열에 합류해 함께 공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누리 발사와 임무는 국내는 물론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