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나가 원자의 질량이다. 바로 ‘실리콘 원자 몇 개가 1킬로그램이다’는 식이다. 현재
거리
의 단위인 1m는 ‘빛이 진공에서 2억 9979만 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다’라고 정의하는 방식이다. 원자의 질량으로 킬로그램의 단위를 재정의하려는 국제 연구는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라는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암실을 만들고 빛의 세기를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저녁에 과학실 전체를 암실로 만든 뒤,
거리
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해 이 결과를 앞서 한 연구와 연결했습니다.물론 일부 학생은 그 결과를 미리 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직접 확인하는 것도 과학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독자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우는 거랍니다.도시에 무분별하게 많이 설치한 네온사인은 에너지 낭비와 더불어
거리
의 아름다운 풍경을 망치기도 한다.자동차의 앞이나 뒤에 달린 전등이 너무 밝으면 다른 차의 운전자 시각을 방해하여 사고가 날 수 있다.대형 전광판은 보통 LED소자를 좁은 간격으로 배치해 만든다. 국제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칼륨, 염소 등을 발견해 화성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바 있다. 우리 먹
거리
를 책임진 과학자들은 화성 흙의 화학적 조성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드는 동시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낮은 중력에 적합한 작물을 만들었다. 그 결과 우리는 수백 명을 부양할 수 있는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거리
를 유지해 행성 표면에 물이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곳이다. 만약 행성과 항성 간의
거리
가 너무 가까우면 물은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반대로 너무 멀면 얼음 상태가 된다. 지구로부터 600광년 떨어져 있는 케플러-22b의 크기는 지구의 2.4배이며 공전주기는 지구보다 조금 짧은 260일이다.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가진 사람은 걷는 것 자체만으로도 매우 피곤함을 느낀다. 한 사람이 평생 동안 걷는
거리
는 지구 둘레의 네 바퀴 반. 땅에 부딪치는 횟수는 1억 번 정도다. 1㎞를 가는 데 약 16t의 엄청난 무게를 지탱한다.발이 아치 구조가 아니었다면 사람들은 지금처럼 활동적으로 움직이지 못했을 것이다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인사는 주고 받았지만, 환영식치고는 초라했다. 어쩌랴. 개척지의 삶이란 화려함과는
거리
가 먼 것이거늘.어제 도착한 대원들은 당분간 의무실에서 건강검진을 받는다. 결핍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세심하게 식단을 짤 계획이다.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는 동안 칼슘이 빠져나가 약해진 뼈의 ... ...
신과 인간이 함께 사는 땅 티베트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면 흔히 전문 산악인이나 할 수 있는 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전문 산악인과는
거리
가 먼 필자 역시 에베레스트 산은 막연한 동경의 대상일 뿐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동경이 현실로 다가왔다. 티베트 겨울 여행을 계획하던 중 사진가로서 에베레스트 산의 웅장한 풍경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야생동물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곳 장단반도 끝자락에서 동해안까지 총 248km에 이르는
거리
에 남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있다. 이 분계선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북한이 각각 2km씩 땅을 내놓경기관광공사아 군사적 완충지역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가 바로 DMZ(비무장지대)다. 50년 간 사람의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경우 진공 가속관 100m에서 얻을 수 있는 가속 에너지를 초고출력레이저를 이용하면 1cm
거리
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초고자장이나 엑스선, 플라스마 연구에도 이 초고출력레이저를 이용하고 있다.“새로운 현상을 처음 발견한다는 것은 정말 가슴 떨리는 일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