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야생동물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곳 장단반도 끝자락에서 동해안까지 총 248km에 이르는
거리
에 남북한의 군사분계선이 설치돼 있다. 이 분계선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북한이 각각 2km씩 땅을 내놓경기관광공사아 군사적 완충지역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가 바로 DMZ(비무장지대)다. 50년 간 사람의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암실을 만들고 빛의 세기를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저녁에 과학실 전체를 암실로 만든 뒤,
거리
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해 이 결과를 앞서 한 연구와 연결했습니다.물론 일부 학생은 그 결과를 미리 알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직접 확인하는 것도 과학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독자 ... ...
산타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해요. 첫째, 비행기가 연료를 추가하지 않고 계속 날 수 있는 최대
거리
가 어디까지인지를 알아야 해요. 아무리 최적의 경로라고 해도 날아가다가 바다에 떨어지면 큰일 나요. 대형항공기가 발달하기 전에는 중간에 연료를 추가하려고 미국에 갈 때 하와이를 거쳐서 가기도 ... ...
겨울 간식 삼총사 찐빵, 호떡, 붕어빵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모양의 글루테닌 분자 속에 구슬 모양의 글리아딘 분자가 들어 있는 모양이랍니다.주물럭
거리
면서 밀가루를 반죽하는 동안 글루테닌과 글리아딘이 이루는 그물망 구조가 변형되면서 탄력이 있으면서도 쭉쭉 늘어나는 독특한 특징이 생겨요. 이 덕분에 빵을 굽는 동안 열에 의해 팽창한 반죽 속 ... ...
도~전! FLL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팀의 활동 내용이나 협동심도 심사해.주제는 해마다 바뀌는데 이번 주제는 ‘안전한 먹
거리
(food factor)’야. 챔피언의 노하우를 전수받다이번 FLL 대회에서 우리가 반드시 챔피언이 되고 말겠어! 그런데 어떻게 해야 대회에서 우승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 우리는 지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낸 팀을 ... ...
모기도 장
거리
여행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이상을 날아간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이
거리
는 지금까지 알려진
거리
보다 세 배나 먼
거리
예요. 암컷 모기는 해질 무렵이나 새벽에 한 시간 정도 활동한다고 해요. 도시에서는 겨울에도 굶주린 모기가 피를 빨 대상을 찾아 돌아다니니 다들 조심하세요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통해 빠져 나간다. 그래서 모자만 써도 훨씬 더 따뜻하게 느껴진다.장갑□손은 심장과
거리
가 멀어 쉽게 차가워지는 신체 부위라서 장갑을 끼는 것이 좋다. 또 장갑 끼고 손을 내 놓은 채 걸으면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걸을 때보다 빙판길에서 넘어졌을 때 덜 다친다.양말□젖은 양말은 양말을 신지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피지가 너무 많이 나와서 생기는데, 보기 싫은 흔적을 남겨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큰 고민
거리
가 된다. 보통 여드름이 많은 사람은 초콜릿처럼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으면 안 좋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여드름이나 피지 분비는 이런 음식과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해결 둘 냄새? 자주 씻고 청결하게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시간이면 올 수 있는 가까운
거리
에 있지. 특히 백령도는 가장 북쪽에 있는데, 평양까지
거리
가 150㎞밖에 되지 않는단다. 이 때문에 군사적 충돌이 많이 일어난다고 해. 실제로 지난 1973년에는 북한이 서해 5도 주변 바다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북방한계선을 넘어와 우리나라 함정과 충돌하는 ... ...
하늘을 나는 카펫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비행 속도를 초당 1m까지 높이겠다고 밝혔지요. 배터리 대신 태양열 전지를 사용해 비행
거리
도 늘리겠다고 하는데요, 만화 속에서만 보던 나는 양탄자를 언제쯤 탈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