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그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양자역학의 전당에 가장 중요한 두 기둥을 세우는 데
성공
합니다.수학으로 이해하게 된 양자역학1925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북해의 섬 헬골란트에서 요양을 취하던 당시 물리학계는 큰 고민에 빠져있었습니다. 뉴턴역학이나 맥스웰이 완성한 고전전자기학으로는 설명할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미국의 영웅인 우주인이 주는 신뢰감을 좋아했다. 사업에 진출한 우주비행사 대부분은
성공
을 거뒀다. 특히 아폴로 14호에 탑승했던 앨런 셰퍼드는 사업과 개인 투자를 겸해 백만장자가 됐다. 우주인 적은 나라일수록 우주 개발에 종사러시아와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의 우주인은 어떨까. 우주에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천천히 얼리면 결정 알갱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빠르게 얼리는 데
성공
해도 어려운 단계가 남아 있다. 순수한 물로 만든 얼음은 곱게 갈기엔 너무 단단하다. 집에서 쓰는 간이 빙수 기계로는 턱도 없다. 와드득 씹히는 얼음 가루를 만드는 것이 한계다. 설령 곱게 갈았다고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치열했던 공학·과학 분야와 달리 제대로 된 시장조차 없었던 수학전공서적에서
성공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처음 시작은 원서를 정식으로 번역해 출간하는 것이었다. 이장우 한양대 수학과 명예교수가 번역한 ‘선형대수’와 ‘미분방정식’이 첫 번째 책이었다. ‘선형대수’를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새떼의 편대 비행을 모방한 군집비행을 야외에서
성공
시킨 첫 사례” 라며 “사람들이 예상한 것보다 훨씬 빨리 성능 좋은 군 집로봇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번 연구결과는 오는 9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국제 지능로봇시스템학회에서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아인슈타인은 수학자 친구 덕분에 졸업 시험을 통과했을 뿐더러 가장 위대한 물리법칙을
성공
적으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 정도면 수학과 제대로 썸을 탄 거겠죠? 시공간이 휘었다니?일반상대성이론에서는 시공간이 휘어져있다. 수학적으로 곡률이 0이 아니라는 말이다. 3차원의 지구를 2차원 ... ...
네 마음 알아, 걸음걸이만 봐도….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바탕으로 보행모습에서 감정을 인식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알고리듬 실험 결과는
성공
적이어서, 조금만움직임이 변해도 그에 따른 감정 변화를 제대로 맞췄다.연구팀은 “향후 더 많은 동작 데이터를 축적해 다양한 감정 인식의 가능성을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돌아보고 있는 유럽인 대원 앨런에게 아침인사를 했다. 앨런이 기지 안에서 식물 재배에
성공
한 덕분에, 우주식에 질려 있던 대원들은 큰 위안을 받았다. 미국 애리조나 사막의 식물원에서 연구했던 앨런은 기지 내에서 LED 조명을 이용해 상추의 일종인 로메인과 같은 채소를 재배했다. 그는 이 ... ...
DNA로 그린 몽타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과학자들이 DNA로 몽타주를 그리는 데
성공
했어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마크 슈라이버 박사와 벨기에 루뱅가톨릭대학교의 이미지 전문가인 피터 클라우스는 입술의 모양과 색을 결정하는 유전자, 눈 주위의 뼈를 구성하는 유전자, 두개골의 생김새를 결정하는 유전자처럼 사람의 머리와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레이놀즈가 세계 최 초로 군집 알고리듬을 개발해 새떼의 움직임을 시뮬레 이션하는 데
성공
했다. 그는 군집을 이루는 각 개체에 세 가지 단순한 규칙을 주입했다. 서로 너무 가까이 접 근하지 않는 ‘분리성’, 주변 개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렬성’, 서로 너무 멀어지는 것을 피하는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